-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영광도동리홍교(靈光道東里虹橋).전남 영광 본문
영광도동리홍교(靈光道東里虹橋)
영광군 문화재자료 제190호
전남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105-2
영광 도동리의 홍교는 조선 성종때 우리 문학사상 가사 작품의 효시인 상춘곡(賞春曲)을 쓴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이 척불(斥佛)한 공을 기념하기 위해 사후 16년이 되는 해(1497년)에 건립했다고 전해오며 1728년에 보수하여 현재까지 존속해 오고 있다. 실제 홍교는 그 옛날 성이 있었을 당시에는 나주와 함평 등지에서 영광으로 들어오는 대로의 길목에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시가지의 변화로 본래의 모습이 훼손된 채 논밭으로 가는 샛길과 주택지 사이의 하천 옆길을 잇는 다리로 전락했다.
전남지방에서는 선암사 홍교, 흥국사 홍교, 고흥 홍교 등이 이미 문화재로 지정된 바 있다. 이러한 홍교들의 특징은 그 규모가 크고 결구법이 가공부재를 이용한 지극한 인위적이고 세련된 기법을 사용한데 있다면 도동리의 홍교는 왜소하나 소박하다. 그러나 그 구법은 단순하나 견고하며 자연적인 부재의 모습을 토대로 손질하여 그 원형에 큰 변화 없이 전체적인 조화를 빚어낸 홍교의 기법은 자연스럽고 투박한 우리 멋이 스며 있다.
홍교의 규모는 폭 184㎝ 반경 174㎝ 정도의 홍예구조이며, 13개의 부재로 결구되어 있으면서도 얼핏 9개의 부재로 결구된 것 같이 보인다. 홍예 부재로서 장대석의 크기는 평균 184×50㎝으로 부재의 평균 길이는 180㎝, 평균 굵기는 50㎝정도이다. 홍예 부재 쌓기는
하부에 장대석 크기의 절반 정도되는 석재가 2개씩 한 조가 되어 있는 양쪽 2단을 제외하고 모두 장대석으로 되어 있다. 가공기법(加功技法)으로 보면 세련된 정밀다듬보다 자연스레 격에 어울리는 거친 다듬의 부채가 아치를 이루어 홍교는 전체적으로 소작하게 어울림과 함께 구족적인 견고함을 유지하고 있다.
*문화재청자료*
'☆~ 풍경소리 > 전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광설매리석조불두상(靈光雪梅里石造佛頭像).전남 영광 (0) | 2016.05.17 |
---|---|
영광 이리마을 당산.전남 영광 (0) | 2016.05.15 |
영광도동리석장승(靈光道東里石長丞).전남 영광 (0) | 2016.05.13 |
영광 월평리사지탑(靈光 月坪里寺址塔).전남 영광 (0) | 2016.05.12 |
영광 연성리미륵불.전남 영광 (0) | 201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