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전 남 (260)
바람처럼 떠나다

담양 명옥헌원림(潭陽 鳴玉軒園林) 명승 제58호 전남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 511번지 등 조선 중기 명곡(明谷) 오희도가 자연을 벗 삼아 살던 곳으로 그의 아들 오이정이 선친의 뒤를 이어 이곳에 은둔하면서 자연경관이 좋은 도장곡에 정자를 짓고, 앞뒤로 네모난 연못을 파서 주변에 적송, 배롱나무 등을 심어 가꾼 정원이다. 시냇물이 흘러 한 연못을 채우고 다시 그 물이 아래의 연못으로 흘러가는데 물 흐르는 소리가 옥이 부딪히는 것만 같다고 하여 연못 앞에 세워진 정자 이름을 명옥헌(鳴玉軒)이라고 한다. 주위의 산수 경관이 연못에 비치는 모습을 명옥헌에서 내려다보며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하여 자연에 순응한 조상들의 지혜를 잘 반영한 전통원림으로 자연경관이 뛰어난 경승지이다. *문화재청자료* 담양 명옥헌원..

소쇄원(瀟灑園) 소쇄원은 중종 때 사람인 양산보(1503~1557)의 별서정원(別墅庭園)이다.별서란 살림집에서 떨어져 산수가 좋은 곳에 마련된 주거공간을 말하며 이곳에 정자와 더불어 조성되는 정원을 별서정원이라 한다.요즘식으로 말하자면 임천(林泉)속의 별장이라고 할 것이다 소쇄원은 양산보가 30대부터 짓기 시작하여 40대에 완성한 것으로 보이며 이때 면앙정을 지었던 송순과 김인후가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양산보는 소년 시절에 마을 뒤의 계곡에서 놀다가 물오리를 따라서 지금 소쇄원이 있는 곳까지 올라온 적이 있었다.그때 언젠가는 이곳에 집을 짓고 살겠다고 생각했다고 한다.'소쇄(瀟灑)'라는 말은 본래 공덕장(孔德璋)의 '북산이문(北山移文)'에서 나온 말로 깨끗하고 시원함을 의미한다.양산보는 그 뜻을 따서 정..
담양 개선사지석등(潭陽 開仙寺址石燈) 보물 제111호 전남 담양군 남면 학선리 593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학선리개선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보물 제111호. 높이 3.5m. 오랫동안 그 하부가 땅속에 묻혀 있던 것을 최근에 바닥을 파내고 흩어진 석재를 정리하여 시멘트로 방형의 지..
장흥 잠두리 양면 장승(長興 蠶頭里 兩面 長丞) 전남 장흥군 대덕읍 잠두리 1101 보기 드물게 앞뒤로 새겨진 양면 장승이다. 건너편 마을이 가학리(駕鶴里)라서 학의 공격으로부터 누에 형국인 마을을 보호하기 위한 비보 장승이다. 남자 여자 구분은 이마의 문양으로 알 수 있다. 전면부의..
장흥 왕비사당석불(長興 王妃祠堂石佛) 문화재지정사항없음 전라남도 장흥군 대덕읍 연지리 연동마을 현고 110cm 되는 주형광배를 갖추고 그 전면에 양각으로 불상을 새겼다. 얼굴에 비해 유난히 크고 높은 육계와 소발의 머리를 하고 상호는 상후하박인 삼각형 얼굴이다. 통견의 법의가 ..
장흥 장천재(長興長川齋) 시도유형문화재 제72호 전남 장흥군 관산읍 천관산길 148-1 (옥당리)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2호. 원래는 장천암(長川庵)이 있었다고 하는데 장흥위씨(長興魏氏)들이 조선 전기(1450년경) 이곳에 장천재를 ..
장흥방촌리석장승(長興傍村里石長丞) 장흥군 민속자료 제33호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관산읍에서 방촌으로 넘어드는 국도 23호선 도로변, 좌우측에 화강석으로 된 2기의 석장승이 서 있다. 이중 서쪽에 위치한 장승은 ‘男長栍’, ‘벅수’, 명문에 따라 ‘鎭西大將軍’으로 불리운..
장흥 천관사오층석탑(天冠寺五層石塔) 장흥군 유형문화재 제135호 전남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천관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높이 4.2m.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5호. 4매의 긴 장대석으로 지대(地臺)를 구축하고 그 중앙에 기단부를 두었는데, 단층기단으..
장흥 천관사석등(天冠寺石燈) 장흥군 유형문화재 제134호 전남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천관사에 있는 신라시대의 석등.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4호. 석등은 1석으로 조성된 방형의 지대석 상면에 놓인 평면 8각형의 구도를 보이고 있다. 하대석은 상·하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