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절집.절터/강 원 (64)
바람처럼 떠나다

원주 법천사지(原州法泉寺址) 문막에서 599번 지방도로를 따라 약 17.5km쯤 가면 부론면 법천리가 자리잡고 있다.충주에서 내려온 남한강 줄기가 부론면 앞으로 흐르는데,그 남한강 무이 섬강과 합쳐져 여주로 흘러든다. 진리(法)가 샘물처럼 솟는다는 법천사(法泉寺).지금은 너른 절터에 마을이 들어서 있는데,마을입구에서부터 한 두채 폐가(廢家)된 농가가 있어 심란하다.폐가와 폐사의 운명이 같은 무게로 스산하게 다가오는 것이다. 폐가를 지나 마을로 들어서면 넓은 밭을 지나 저만치서 당당하게 우뚝 서 있는 당간지주가 시야에 들어온다.일단 당간지주를 뒤에 두고 왼쪽으로 꺾어 들어 야산 기슭으로 오르면 화려하기 이를 데 없는 지광국사 탑비가 힘차게 우뚝 서 있고,조각난 석물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저 아래 당간지..
춘천 충원사지(春川 沖圓寺址) 강원 춘천시 소양로2가 162-2 춘천 시가지에 위치한다.춘천 칠층석탑이 위치하고 있으며,현재 민가가 밀집한 지역이다.석탑은 2000년에 실측 및 이전.복원하였다.석탑 남동쪽에 원 위치를 표시한 표지석이 있다.탑을 이전할 때에 조선시대 기와와 적심석 2곳..
춘천 근화동사지(春川 槿花洞寺址) 강원 춘천시 근화동 793-1 춘천시 근화동 춘천역에서 소양댐으로 가는 강변도로에 인접하여 위치한다.사찰의 명칭 및 연혁에 대해서는 파악할 수 없다. 현재 도로와 건물이 들어서 절터의 흔적을 찾을 수 없으나,강변순환도로 공사 때 기와편이 많이 출..
춘천 오봉산 청평사(春川 五峰山 淸平寺)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오봉산길 810 소양호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10분쯤 호수를 가르고 가면, 아름다운 오봉산(779m) 기슭에 포근히 안겨 있는 청평사가 나타난다. 고려 광종(973년)때 영현선사가 처음 세웠다. 고려 선종 6년(1089) 과거에 급제했던 이..
춘천 양화사지(春川 楊花寺址) 강원 춘천시 서면 서상리 247 춘천시 서면 서상리 북쪽 밭 가운데 위치하며,경작지 가운데 삼층석탑이 있어 절터임을 알 수 있다. *한국사지총람자료*
화천 위라리사지(華川 位羅里寺址) 강원 화천군 하남면 위라리 397 화천군 하남면 위라리 춘천호 상류 경작지 일대이다.고려 忠烈王(1274~1308) 때 창건된 사찰이 있었으며,개성사의 분사였다고 한다.석탑은 창건 당시 건립되었다고 전하나 확실치 않다.주변에 기와편이 산재되어 있다. *한..
화천 계성사지(華川 啓星寺址) 강원 화천군 하남면 계성리 594 화천군 하남면 계성리 북쪽에 위치한다.사찰의 창건과 관련된 기록은 찾을 수 없으나,『新增東國輿地勝覽』 券 47 江原道 狼川縣 佛宇 條에는 '啓星山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한편 『輿地圖書』와 『梵宇攷』에는 페사되었..
강릉 괘방산 등명락가사(江陵 掛榜山 燈明洛伽寺)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괘방산길 강릉시청에서 동남쪽으로 12km 떨어진 괘방산 중턱에 있는 등명낙가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처음 세워서 수다사라고 했다. 고려에는 등명사가 중창되어서 많은 스님들이 수도 정진한 사찰이다...
강릉 등명사지(江陵 燈明寺址)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 7-3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의 괘방산 중턱에 있는 등명사의 옛터. 등명사라는 명칭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풍수지리에서 입각하여 볼 때 사찰이 강릉대도호부 중 암실(暗室)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