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박물관 (211)
바람처럼 떠나다
생각하는 부처가 새겨진 불비상(彌勒菩薩半跏t思惟碑像) 통일신라시대의 비상(碑像).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960년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다방리 비암사(碑巖寺)에서 다른 두 비상과 함께 발견되었다. 그 가운데 가장 작은 비상으로 네 면에 모두 조각이 되어 있다. 그러나 반가사유상이 표현된 앞면 위주이다. 이 비상은 아래 대좌 뿐만 아니라 모든 부분이 하나의 돌로 되어 있다. 윗부분은 용이 서로 얽혀져 옥개(屋蓋)를 형성하였다. 대체로 비(碑)의 전·후면 모양은 T자형이고, 측면은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 모양을 새겨서 각 면이 마치 감실(龕室) 같은 형태를 이룬다. 전면 중앙에는 반가상 1구가 부조되었다. 이 불상은 사각형 대좌에 앉아 왼쪽 다리..
계유명삼존천불비상(癸酉銘三尊千佛碑像) 충북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국립청주박물관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960년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에서 조금 떨어진 산기슭에 있는 서광암(瑞光庵)에서 발견된 것으로, 일명 서광암 삼존천불비상으로 불려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부근의 옛 절터에서 서광암으로 옮겨졌다고 전하고 있어 확실한 원위치는 알 수 없다. 이 석비상(石碑像)은 통일신라 때 연기 지방을 중심으로 조성된 이른바 ‘연기파(燕岐派)’ 불상 조각 중 가장 크다. 이 비상은 낮은 기단 위에 장방형의 비신(碑身)이 수직으로 세워진 전형적인 석비형 비상이다. 비신부는 4면으로 이루어졌으며, 앞면의 삼존불좌상을 중심으로 옆면·뒷면에까지 작은 불상을 가득 배열하고, 좌우로 조상기를 적고 ..
기축명아미타불비상(己丑銘阿彌陀佛碑像) 보물 충북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국립청주박물관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다방리 비암사(碑巖寺)에 소장되어 있던 3점의 비상 가운데 하나이다. 주형 광배형(舟形光背形)의 이 석상은 앞면에만 조각이 있으며, 위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곡면을 이룬 뒷면에는 4행의 명문이 적혀 있다. 조각은 마치 『아미타경』에 보이는 극락세계의 장면을 그대로 도해한 듯하다. 본존불은 유난히 큰 원형의 머리광배를 배경으로 결가부좌(結跏趺坐)하고 있다. 법의는 통견(通肩)이며 오른손은 불분명하나 왼손은 가슴 아래에 들고 있어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의 통인(通印)으로 보인다. 상체의 굵직한 U자형 골 주름은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국보, ..
‘계유’가 새겨진 아미타 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960년 충청남도 연기군 비암사(碑巖寺)에서 다른 2점의 불비상(佛碑像)과 함께 발견된 아미타불삼존비상이다. 앞면은 윗부분에 비하여 아랫부분의 너비가 약간 넓은데, 가장자리를 따라서 감실형(龕室形)의 테두리를 새겼다. 그리고 그 안을 한 단 낮게 하여 상부에 커다란 이중의 주형 광배(舟形光背)를 조각하였다. 광배 좌우에는 각각 주악천(奏樂天)이 배치되었으며, 가운데 아미타불삼존상과 그 권속들이 조각되엇다. 본존주11은 복련(覆蓮)주1의 연화좌 위의 네모 반듯한 대좌에 결가부좌하였고, 협시보살과 인왕(仁王) · 나한(羅漢)주2들이 좌우에 새겨져 있다. 얼굴 부분은 마멸되어 확실하지 않으나, 머리 위..
흥덕사가 새겨진 금고(興德寺銘靑銅金鼓) 지정사항없음 충북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국립청주박물관 금고는 절에서 사용하는 범음구梵音具로, 망치모양으로 된 나무로 가운데 부분을 쳐서 소리를 낸다. 이 금고의 옆면에 ‘갑인년 5월 서원부 흥덕사 금구 하나를 고쳐 만드는데 들어간 무게가 32근이다’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것으로 직지直指의 간행처로 이름만 알려졌던 흥덕사의 실체가 확인되었다. *국립청주박물관자료*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淸州雲泉洞出土銅鐘) 보물1167호 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국립청주박물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의 범종. 199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78㎝, 입지름 47.4㎝.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1970년 금동불상, 금고(金鼓) 등의 불교 관련 유물과 함께 발견되었다. 신라종의 양식을 충실히 따른 아름다운 동종이지만 일부에 손상을 입었고 약식화의 흔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정상에는 단룡(單龍)으로 된 용뉴(龍鈕)를 ‘∩’형으로 표현하여 고리의 역할을 하도록 만들었다. 그 옆에는 원통(圓筒)이 있으나 용신(龍身)과 분리되었고 원통의 상부는 절단되었다. 이 용뉴는 높이 14㎝ 정도로 몸체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편이다. 상대와 하대에는 장식 문양이 ..
춘천박물관 석조광배(春川博物館 石造光背) 지정사항 없음 강원 춘천시 우석로 70 국립춘천박물관 부처님의 신비함과 위대함을 장엄하게 하기 위하여 부처의 몸에서 발산되는 빛을 표현한 것이다. 광배의 종류에는 머리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각으로 표현한 두광과 몸에서 발산하는 빛을..
원주 법천사지 치미(原州 法泉寺址 鴟尾) 지정사항 없음 강원 춘천시 우석로 70 국립춘천박물관 법천사法泉寺는 승려 해린海麟(984~1070)이 왕사, 국사로 활약하던 10~11세기 가장 융성하였다. 날개 끝부분에 날카로운 돌기가 곧추선 치미는 용마루 끝을 장식하는 기와로 당시 법천사의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