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충 남 (231)
바람처럼 떠나다

수덕사유물(거문고) (修德寺遺物(거문고))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 수덕사 만공스님께서 고종의 다섯째 아들인 이강(李堈)공 의친왕(義親王)으로부터 하사받은 것으로 전해지는 거문고이다. 뒷면에는 조선 후기의 대감식안(大鑑識眼)이었던 육교 이조묵(李租默 : 1792-1840)이 1837년에 쓴 초서로 된 찬문(撰文)과 만공스님의 게송(偈頌)이 새겨져 있다. 찬문에는 이 거문고가 본래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 1352-1374)의 소장품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거문고 후면 기록 九雷環佩 ● 찬문 玄琴富如董蒲唯環佩爲至寶者 恭愍王得神桐而製此耳 其後冶隱珍藏而名賢高士無不爭奏聲韻之淸爽特餘事 歟澤堂銘汾西等惜剛半磨滅足證世之質造上可幸也 丁酉竹碎日六橋撰仍題 현금(玄琴)이 넉넉하기는 ..

수덕사 무량수각 편액(修德寺 無量壽閣 編額)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 수덕사 현재 추사고택과 근접해 있는 화암사(華巖寺)는 김정희 일가(一家)가 왕으로부터 하사받은 별사전(別賜田)지역 안에 있으며, 그 가문의 원찰(願刹)이었다. 추사는 어려서부터 이 절을 오가며 불교에 대한 이해를 다졌는데, 그러한 인연으로 하여 ‘무량수각(無量壽閣)’과 ‘시경루(詩境樓)’편액이 추사의 친필(親筆)로 조각되었다. 이 뿐 만 아니라 大雄殿의 뒤쪽 암벽에 추사 김정희 선생의 글이 암각되어 있다. 조선후기의 대학자이자 서예가인 추사(秋史) 김정희(1786-1856)는 충청남도 예산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완당(阮堂) ㆍ 추사(秋史)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도 예당(禮堂) ㆍ 시암(詩庵) ㆍ 과파(果坡) ㆍ 노과(老..

수덕사 소조관음보살좌상(修德寺 塑造觀音菩薩坐像) 문화재자료 제384호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 수덕사 수덕사에 소장되어 있는 소조불상 좌상으로 높이 39㎝, 어깨폭 13㎝, 무릎폭 21.7㎝이다. 조선후기 18세기 이후에 조성된 소조불로서 윤왕좌의 자세에 머리에서부터 백의 같은 천을 덮어 쓴 형식의 백의관음으로서 그 예가 매우 드문 작품이며 양식적으로 특이성을 지니고 있어 불교미술사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자료*

예산 수덕사칠층석탑(修德寺七層石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1호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 수덕사 이 탑은 1930년 당시 수덕사 주지이신 만공선사께서 대웅전 앞에 건립한 화강석재 7층석탑으로 기단면석 외부로 두드러지게 우주를 표현하고 있는데 면석에는 두께 10㎝ 정도의 사각 테두리가 돌려져 있다. 기단 위에 탑신부의 옥신대신 4개의 정사면채 석채를 주춧돌처럼 놓아 1층의 옥계석을 받치고 있다. 이 탑의 특징은 기단부는 없이 바로 탑신과 옥계석이 놓여 있으며 옥계석은 반전되어 있다. 현재 7층석탑은 황하루 옆으로 옮겨져 관리되고 있다. *문화재청자료*
예산 남연군비 (禮山 南延君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1호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비이다. 남연군( ? ∼1822)은 조선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의 6대손 이병원의 아들로, 정조의 이복 동생인 은신군의 양자가 되어 남연군에 봉하여졌다. 죽은 뒤..
예산 남연군의묘(禮山 南延君墓) 시도기념물 제80호(예산군)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산5-28 충청남도 기념물 제80호. 높은 언덕에 반구형 봉분이 크게 자리 잡고 있으며, 앞에 석물과 비석이 서 있다. 원래 경기도 연천에 있던 것을 1846년 이곳으로 이장했다. 이하응은 풍수지리설을 믿..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禮山花田里石造四面佛像) 보물 제794호 충남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 61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불상. 보물 제794호. 원래 암반 위에 돌출한 돌기둥을 4면으로 깎아 각 면에 사방불상을 새긴 것이다. 돌기둥은 원래 남북 면이 넓고 동서 ..
예산 석곡리석탑(禮山 石谷里石塔) 문화재자료 제184호(예산군) 충남 예산군 고덕면 석곡리 467-12 석곡리마을회관 석곡리 마을회관 내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이곳에서 조금 떨어진 옛 절터에서 옮겨왔으며, 함께 발견된 석곡리미륵불(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185호)이 옆에 남아 있다. 탑..
예산 석곡리미륵불(禮山 石谷里彌勒佛) 문화재자료 제185호(예산군) 충남 예산군 고덕면 석곡리 467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석곡리 절터에서 나온 이 보살입상은 함께 발견된 3층석탑과 같이 마을 회관에 보존되어 있다. 불상은 탑의 맞은 편에 세워져 있으며 아랫부분이 땅에 묻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