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강릉송라사석조약사여래좌상(江陵 松蘿寺石造藥師如來坐像).강원 강릉 본문
강릉송라사석조약사여래좌상(江陵 松蘿寺石造藥師如來坐像)
시도유형문화재 제129호(강릉시)
강원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 356-1
송라사의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불상은 1936년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의 방현사지(方縣寺址)에서 출토되었다고 한다. 현재 채색은 거의 벗겨졌지만, 각선(刻線) 사이사이에 호분의 흔적이 보이며, 광배에도 붉은 채색의 흔적이 남아있다.
광배와 불상이 하나의 돌에 조각되었으며, 돌의 재료는 화강암이다. 위가 뾰족한 보주형 광배에 두광과 신광을 별도로 새기고 있으며, 그 가장자리에는 화염문이 돌려져 있다.
광배에 꽉 들어차 있는 불상은 무릎 폭이 넓어 전체적인 비례는 안정감이 있으나, 상체는 머리와 어깨가 거의 닿을 정도로 목이 짧아 움추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둥근 얼굴에는 양감이 있으며, 나발(螺髮)의 머리카락과 육계(肉계)의 표현이 있으나 마모가 심하여 분명하지 않다. 이마에는 근래에 새로 보완한 것으로 보이는 커다란 백호가 있고, 눈코입은 단정한 모습인데 역시 마모가 심하여 세부는 정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통견의 불의는 두터워 신체의 곡선이 거의 드러나지 않으며, 왼쪽 어깨의 가사를 고정시키는 매듭장식이 특징적이다. 옷주름은 전체적으로 구불구불하며, 각선이 굵직굵직하다. 왼손은 가슴까지 들어 약합을 들고 있으며, 오른손은 손바닥을 안쪽으로 하여 오른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있다.
이 석불좌상은 목이 짧아 움추린 듯한 자세, 귀 위까지 더부룩한 머리카락, 신체의 굴곡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 두꺼운 통견의 법의, 굵고 불규칙한 옷주름선과 왼쪽 어깨 위의 매듭 표현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이 불상이 고려 전기, 대략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게 한다.
*문화재청자료*
'☆~ 풍경소리 > 강 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릉 방현사지석불좌상(江陵 坊縣寺址石佛).강원 강릉 (0) | 2018.06.16 |
---|---|
강릉 방내리삼층석탑(江陵 坊內里三層石塔).강원 강릉 (0) | 2018.06.15 |
강릉 용연사부도군(江陵龍淵寺浮屠群).강원 강릉 (0) | 2018.06.11 |
강릉용연사석조관음보살좌상(江陵 龍淵寺 石造觀音菩薩坐像).강원 강릉 (0) | 2018.06.10 |
강릉 용연사석탑(江陵龍淵寺石塔).강원 강릉 (0) | 201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