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경상남도 유형문화재 (4)
바람처럼 떠나다

남해용문사목조(南海龍門寺木槽)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경상남도 남해군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 목조란 일반적으로 많은 대중이 운집하는 사찰 법회 때 배식용도로 사용되었던 목식통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는 조선시대 사찰에 부과되었던 종이 만드는 부역인 지역(紙役)과 관련하여 닥종이의 원료를 풀 때 사용되었던 용기로 추정되며, 비교적 규모가 큰 사찰에는 1∼2점씩 전래된다. 용문사 목조의 제작시기는 조선 후기로 추정되며, 2005년 7월 21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7호로 지정되었다. 1기의 목조로, 전체 길이는 672㎝, 폭은 100㎝이다. 형태는 원통형 통나무의 중앙을 파서 만들었으며, 나무통 양 끝에 각각 37㎝, 47㎝의 턱받이가 마련되어 있다. 그 중 한 곳은 턱받이 밑에 부착된 세로 부재에 직경 ..

남해용문사목조사천왕상(南海龍門寺木造四天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경남 남해군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 2005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사천왕은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외호신으로, 사찰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의 천왕문(天王門) 내부 좌우로 각 2구씩 봉안된다. 용문사 사천왕상은 1702년(숙종 28)에 조성되었다. 「남해용문사중흥기(南海龍門寺重興記)」에 의하면, 1896년(고종 33) 호은(虎隱) 스님이 용문사 천왕각(天王閣)을 중건하였다고 한다. 이 사천왕상의 형상은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몸에는 갑옷을 착용하였으며 상의에 걸친 천의자락이 아래까지 흘러내리고 발 밑에는 악귀 1구씩을 밟고 있다. 또 사천왕은 각각 지물을 들고 있는데, 동방 지국천왕은 비파, 서방 광목천왕은 용과 여의주,..

남해용문사목조지장시왕상(南海龍門寺木造地藏十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경상남도 남해군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 2005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용문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불상 25구이다. 명부전 내에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왼쪽에 도명존자, 오른쪽에 무독귀왕이 시립하고, 그 좌우로 시왕상 10구와 판관 2구, 귀왕 2구, 명부사자 2구, 인왕상 2구 등 모두 21구의 존상들이 배치되어 있다. 용문사의 백지묵서발원문에 의해, 목조지장시왕상은 1678년(현종 4) 지현(智玄)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존인 지장보살상은 높이가 87㎝이며, 나머지 상들은 150㎝ 정도이다. 지장보살상은 목재 재질 위에 일정한 크기로 한지(韓紙)를 붙였다. 양 귀는 나무로 조각하였고, 두 손..

남해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南海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경남 남해군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 이 삼존불은 대웅전 중앙에 위치한 장방형 불단 위에 각각의 연화좌를 두고 그 위에 봉안되어 있다. 머리 뒤편 정수리 쪽으로 서너 개의 나발이 결손 되었거나 소매와 군의자락에 도금이 탈락한 것을 제외하면 전반적인 보존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세 구의 불상은 저부에 마련된 복장공이 모두 열려 있었고, 복장물 역시 대부분이 도난당한 상태였으며, 그중 경전 · 다라니 등이 불상 내부의 목 부분과 팔, 다리 쪽으로 끼워져 남아 있었다. 또한 양측 협시상은 저부의 복장공 외에 배면 중앙에 타원형의 복장공을 따로 만들어 다른 판재로 엉성하게 덧대어 마감되어 있었다. 배면에 마련된 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