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ags
-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청화백자매조죽문호(靑華白磁梅鳥竹文壺).국립중앙박물관 본문
청화백자매조죽문호(靑華白磁梅鳥竹文壺) .매화대나무 새무늬 항아리
국보 제170호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16.8㎝, 입지름 6.1㎝, 밑지름 8.8㎝의 뚜껑있는 백자 항아리이다.
뚜껑의 꼭지는 연꽃봉오리 모양이며, 어깨는 벌어졌고 잘록한 허리의 선은 바닥에서 약간 도드라지는 듯한 느낌을 준다. 굽의 접지면 바깥둘레는 약간 경사지게 깎아내렸다. 뚜껑의 꼭지에 꽃잎 4장을 그리고 그 주위에 매화와 대나무를 그린것이, 조선 전기 회화에서 보이는 수지법(樹枝法)과 비슷하다. 아가리 가장자리에 꼬불꼬불하게 이어진 덩굴무늬를 그리고, 몸체의 한 면에는 한 쌍의 새가 앉아있는 매화와 들국화를, 다른 한 면에는 V자형으로 뻗어나간 대나무를 그렸다.
그림속에 농담의 변화가 보이는 것이 전문 화가에 의해 그려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 항아리는 조선 초기의 고분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며 이 무렵 백자 항아리의 형태와 문양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문화재청자료*
'☆~ 바람소리 >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용문전(磻龍文塼).국립중앙박물관 (0) | 2010.01.05 |
---|---|
산수문전(山水文塼).국립중앙박물관 (0) | 2010.01.04 |
청동은입사포유수금문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국립중앙박물관 (0) | 2010.01.02 |
연가7년명금동여래입상(延嘉7年銘金銅如來立像).국립중앙박물관 (0) | 2010.01.01 |
청자인형주자(靑磁人形注子).국립중앙박물관 (0) | 200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