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처럼 떠나다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 仁陽寺 造成碑).경남 창녕 본문

☆~ 풍경소리/경 남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 仁陽寺 造成碑).경남 창녕

푸른새벽* 2010. 7. 8. 12:37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 仁陽寺 造成碑)


보물 제227호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군청길 1-14 (교리)


보물 제227호. 810년(헌덕왕 2) 건립. 높이 1.58m, 너비 48㎝, 두께 18㎝. 비문의 내용은 많이 마멸되었으나 인양사(仁陽寺)라는 절에 세워졌던 것으로 추정되어,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仁陽寺造成碑)라고도 하며, 771년 (혜공왕 7)부터 40여년간의 기록을 한 것이다.


9세기 초의 비로는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인 이 비는 비면에 두께 10㎝ 정도의 불상이 부조(浮彫)되어 있다. 비측과 비음에는 대체적으로 그 당시의 비문에 흔하지 않은 지름 5㎝ 안팎의 행의(行意)를 곁들인 해서(楷書)가 새겨져 있다. 양쪽 비측에 각 두 줄, 비음에는 10행의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글씨 형태는 일반적으로 당시에 유행했던 당대(唐代) 해서의 범주를 벗어나고 있다. 물론 이 때만 하더라도 중국의 영향을 크게 벗어나고자 한 것은 보이지 않으나, 서체의 도입이 당대보다 좀더 거슬러 올라간, 진한대(秦漢代)의 형태미를 구사하였다는 것은 나름대로의 독자성 추구를 강력히 실천하였다는 의미이다.


표면상에 나타난 것으로는 목간(木簡 : 글을 나뭇조각에 적은 것)의 필의를 느끼게 하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간혹 백서(帛書 : 비단에 쓴 글)의 필의도 엿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분위기에서는 정도소(鄭道昭)의 해서필의도 상당한 부분에 나타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왕희지(王羲之)의 기본도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렇듯이 여러 가지 글씨 형태를 동시에 표출하고 있는 것은 입비(立碑) 당시의 서자(書者)가 가지고 있는 새로운 서형태의 전개를 살필 수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자료*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 仁陽寺 造成碑)


보물 제227호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294 


인양사를 비롯하여 이와 관련이 있는 여러 절의 범종, 탑, 금당 등의 조성연대와 쓰인 식량 등을 낱낱이 기록하고 있는 비로, 통일신라 혜공왕 7년(771) 인양사 종을 만든 일로부터 이 비석을 세운 신라 헌덕왕 2년(810)까지 40년간 이루어진 일의 내용이 담겨 있다.


비는 직사각형의 바닥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커다란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비 뒷면에는 스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사찰 조성에 관련된 당시의 승려를 기리기 위해 새겨놓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스님은 애띤 얼굴에 자비로운 모습이며, 사람의 몸을 모방한 부드러운 선이 8∼9세기 조각수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비문에 새겨진 글씨의 형태는 당시에 유행했던 해서체의 범주를 벗어나 여러 가지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 새로운 서체의 전개를 살필 수 있다.


당시 일반적인 비의 형태를 벗어나고, 지나치게 큰 지붕돌이 원래의 것인지는 의심스럽지만 통일신라 전성기의 불찰조성을 기록한 비석으로서 특수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문화재청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