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염거화상탑지(廉巨和尙塔誌).국립춘천박물관 본문
흥법사염거화상탑지(興法寺廉巨和尙塔誌)
강원 춘천시 석사동 국립춘천박물관
탑지(塔誌)는 844년(문성왕文聖王 6)에 조성되었다. 탑지가 발견된 탑은 본래 강원도 원주군(原州郡) 지정면(地正面) 안창리(安昌里) 흥법사지(興法寺址)에 있던 것으로서 일제시대에 서울 탑골공원으로 이전되었다고 한다.
탑지(塔誌)는 염거(廉居)화상의 탑에 돌아간 연시(年時)를 기록한 것이다. 동판으로 만든 가로17cm 세로29cm의 지석에 글씨 크기 1.8cm의 해서(楷書) 쌍구체로 쓰여졌다. 현재 탑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고, 탑지는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승려의 탑지(塔誌)로서 최초로 남겨진 것이라는 의의가 있으며 염거화상의 탑임을 확인할 수 있어, 승려 탑의 초기 양식을 살피는데 결정적인 근거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아래의 사진은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된 염거화상탑이다.
전 원주흥법사지염거화상탑(傳 原州興法寺址廉居和尙塔)
국보 제104호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
통일신라 말의 승려 염거화상의 사리탑이다. 염거화상(?∼844)은 도의선사의 제자로, 선(禪)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던 당시 주로 설악산 억성사에 머물며 선을 널리 알리는데 힘썼다. 체징에게 그 맥을 전하여 터전을 마련한 뒤 문성왕 6년(844)에 입적하였다.
이 탑은 원래 강원도 흥법사터에 서 있었다 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탑이름 앞에 ‘전(傳:∼라 전하다)’자를 붙이게 되었고, 원래 위치에서 서울로 옮겨진 후에도 탑골공원 등 여러 곳에 옮겨졌다가 경복궁에 세워졌으나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탑은 아래위 각 부분이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기단(基壇)은 밑돌·가운데돌·윗돌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마다 소박한 조각이 멋스럽게 펼쳐져 있다. 밑돌에는 사자를 도드라지게 새겼고, 가운데돌에는 움푹 새긴 안상(眼象)안에 향로를 새겨 두었다. 2단으로 마련된 윗돌은 아래단에는 연꽃을 두 줄로 돌려 우아함을 살리고 윗단에는 둥그스름한 안상(眼象) 안에 여러 조각을 두어 장식하였다.
사리를 모셔둔 탑신(塔身)의 몸돌은 면마다 문짝모양, 4천왕상(四天王像)을 번갈아 가며 배치하였는데, 입체감을 잘 살려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지붕돌은 당시의 목조건축양식을 특히 잘 따르고 있어서 경사면에 깊게 패인 기왓골, 기와의 끝마다 새겨진 막새기와모양, 밑면의 서까래표현 등은 거의 실제 건물의 기와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은 탑을 옮기기 전까지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
탑을 옮겨 세울 때 그 안에서 금동탑지(金銅塔誌)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통일신라 문성왕 6년(844)에 이 탑을 세웠음을 알게 되었다. 사리탑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단아한 기품과 깨끗한 솜씨가 잘 어우러져 있다. 이후 대부분의 사리탑이 이 양식을 따르고 있어 그 최초의 의의를 지니는 작품이다.
*문화재청자료*
'☆~ 바람소리 >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원지 동종편(禪林院址 銅鍾片).국립춘천박물관 (0) | 2011.01.17 |
---|---|
선림원지 납석제 소탑(禪林院址 蠟石製小塔).국립춘천박물관 (0) | 2011.01.15 |
한송사석조보살좌상(寒松寺石造菩薩坐像).국립춘천박물관 (0) | 2011.01.13 |
원주시출토 철조석가여래좌상(鐵造釋迦如來坐像).국립춘천박물관 (0) | 2011.01.13 |
원주시출토 철조약사여래좌상(鐵造 藥師如來坐像).국립춘천박물관 (0) | 201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