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ags
-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선림원지 동종편(禪林院址 銅鍾片).국립춘천박물관 본문
선림원지 동종편(禪林院址 銅鍾片)
강원 춘천시 석사동 국립춘천박물관
이 종은 1948년 강원도 양양 선림원지에서 발견되어 오대산월정사에 보관되어 오다가 1950년 한국전쟁으로 불에 타 잔편만이 남아있다.원래 크기는 전체높이 122cm,입 지름 68cm이다.
8세기 종에 비해 크기가 줄어들면서 종의 외형은 가늘고 길어졌다.연곽 안에 장식된 9개씩의 연꽃봉오리는 나즈막하고,화려한 당좌 좌우로는 2구 1조로 된 주악상이 조각되었다.몸 뒤로 피어오른 구름과 연화 대좌에 앉아 횡적(橫笛)과 요고(腰鼓)를 연주하는 모습으로서 정면관인 상원사종 주악상과 달리 몸을 약간 옆으로 돌린 채 결가부좌한 자세로 변화되었다.머리 뒤로 흩날리는 천의자락도 훨씬 간략화되었으며 횡적을 부는 천인상 같은 9세기의 실상사종과 거의 동일한 모습이다.
이 선림원지 종은 몸체 내부에 명문이 양각되어 있어 독특한데,정원(貞元)20년인 통일신라 804년에 만들었고 종 주조에 관계된 시주자 명단 등을 통해 당시의 관직명과 이두(吏讀) 등을 살펴볼 수 있다.비록 완형은 아니지만 통일신라 9세기 초의 귀중한 편년자료로서 새롭게 그 원형을 복원하게 된 의미 깊은 작품이다.
'☆~ 바람소리 >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천박물관 삼층석탑(春川博物館 三層石塔).강원 춘천 (0) | 2011.01.19 |
---|---|
장명등(長明燈)과 석인상(石人像).국립춘천박물관 (0) | 2011.01.18 |
선림원지 납석제 소탑(禪林院址 蠟石製小塔).국립춘천박물관 (0) | 2011.01.15 |
염거화상탑지(廉巨和尙塔誌).국립춘천박물관 (0) | 2011.01.14 |
한송사석조보살좌상(寒松寺石造菩薩坐像).국립춘천박물관 (0) | 201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