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흥선대원군 기린흉배 (興宣大院君 麒麟胸背).국립대구박물관 본문
흥선대원군 기린흉배(興宣大院君 麒麟胸背)
국가민속문화재 제65호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이 유물은 흥선대원군 이하응(1820~1898)의 관복(官服)에 달았던 흉배(胸背)이다. 이하응은 영조의 증손이 되는 남연군(南延君) 구(球)의 네 아들 중 막내로 순조 20년(1820)에 태어나 헌종 9년(1843) 흥선군으로 봉해지고, 철종 14년(1863) 왕이 승하하자 둘째아들 명복(命福)이 즉위함으로써 대원군으로 봉해졌으며, 광무 2년(1898)에 승하하였다.
흉배는 조선시대 백관의 관복인 단령(團領)의 가슴과 등에 붙였던 사각형의 장식물이며 장식의 목적과 함께 착용자의 신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품계에 따라 문양을 달리하여 만들었다. 관복과 같은 색의 사(紗)나 단(緞)에 다양한 문양을 직조하거나 수놓았는데 계급의 표시가 되는 동물 도안을 중심에 배치하고, 구름·여의주·파도·바위·불로초 등을 주위에 배열하였다. 시대에 따라 흉배의 크기·흉배의 제작법·문양의 종류와 배치방법 등의 변화가 있었다.
『경국대전』예전에 수록된 바에 의하면 대군이 기린을 수놓은 흉배를 달았다고 전하는데, 이에 비추어 흥선대원군이 달았다는 기린 흉배는 대군의 예우를 갖춘 것으로 보인다.
이 기린흉배는 기린 한 마리가 구름을 헤치고 발굽을 모아 질주하고 있는 모습으로, 약간 검은색이 도는 청색 단에 금실과 은실로 수를 놓았다. 문양은 기린을 중심으로 위 양옆에는 구름무늬를, 아래에는 구름과 물결무늬 등을 배치하였다. 자수 방법과 문양의 배치가 정교하다.
*문화재청자료*
'☆~ 바람소리 >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 장연사 터 동삼층석탑 사리구(長淵寺地 東三層石塔 舍利具).국립대구박물관 (0) | 2017.05.17 |
---|---|
문경 내화리삼층석탑사리구(聞慶內化里三層石塔舍利具).국립대구박물관 (0) | 2017.05.16 |
의성 관덕동 석사자(義城 觀德洞 石獅子).국립대구박물관 (0) | 2017.05.15 |
국립대구박물관 금동반가사유상(金銅半跏思惟像).국립대구박물관 (0) | 2017.05.15 |
금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국립대구박물관 (0) | 2017.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