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의성 관덕동 석사자(義城 觀德洞 石獅子).국립대구박물관 본문
의성 관덕동 석사자(義城 觀德洞 石獅子)
보물 제202호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국립대구박물관
보물 제202호. 암수 1쌍. 원래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에 있었던 탑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었던 네 마리의 사자상 중 한 쌍이다. 나머지 한 쌍은 1940년에 분실되었고, 현재 두 마리가 국립대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두 사자 모두 마멸이 심하여 각 부분의 세밀한 조각 수법은 분명하지 않다.
암사자는 앞발을 곧게 세우고 뒷발은 구부린 앉은 자세를 취하였다. 눈·코·입 등을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마멸된 면상(面相)은 오른쪽을 향하고 있다. 굵은 목에는 아직도 영락[瓔珞 :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이 남아 있어서 불국사 다보탑 돌사자의 장식을 연상하게 한다. 곧게 뻗은 두 다리에는 힘찬 약동감을 나타내는 근육이 뚜렷이 있다. 그리고 오른발에는 아직도 예리한 발톱이 남아 있어서 맹수의 위용을 잃지 않고 있다.
이 상에서 주목되는 것은 양발 사이와 배 밑에 세 마리의 새끼사자가 있고, 그중 한 마리가 어미의 젖을 빨고 있는 희귀한 모습이다. 이러한 정감 어린 모습 때문인지 매우 친근감이 느껴진다.
수사자는 두 조각의 파편만이 전해질 뿐이다. 그래서 각 세부의 수법은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암사자와 같이 앉은 자세이며 고개를 약간 좌측으로 틀고 있어서 암수가 서로 마주 보는 배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마멸이 심한 탓으로 맹수의 기상이 감소되긴 하였으나 형태가 우아하고 팽창감 있는 균형 잡힌 자세는 사실성이 역력하다.
비사실적이며 도식성이 가해진 경상북도 경주군 외동면의 괘릉(掛陵) 돌사자와 경주 교동에서 옮겨와 함께 보관되어 있는 돌사자 등과는 그 조형 기법이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사자들은 이상적인 조각 수법에서 탈피한 8세기 중엽의 불국사 다보탑 돌사자 양식을 거친 조형 감각을 지니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자료*
'☆~ 바람소리 >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경 내화리삼층석탑사리구(聞慶內化里三層石塔舍利具).국립대구박물관 (0) | 2017.05.16 |
---|---|
흥선대원군 기린흉배 (興宣大院君 麒麟胸背).국립대구박물관 (0) | 2017.05.16 |
국립대구박물관 금동반가사유상(金銅半跏思惟像).국립대구박물관 (0) | 2017.05.15 |
금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국립대구박물관 (0) | 2017.05.14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국립대구박물관 (0) | 2017.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