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ags
-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안성역사공원 선정비석군(安城歷史公園善政碑石群).경기 안성 본문
안성역사공원 선정비석군(安城歷史公園善政碑石群)
경기 안성시 낙원동 609
안성시 낙원동에 위치한 안성역사공원에 들어서면 먼저 만나는 게 공덕비다.오른쪽으로 무려 46기의 선정비.공덕비.송덕비가 키자랑,몸매자랑을 하며 열지어 늘어서 있는데 정말 장관이다.한 곳에 이렇게 많은 공덕비가 모여 있는 곳은 전국 어디에도 없을 것이다.
이곳에 공덕비가 이토록 많이 세워진 사연을 들어보면 더욱 가관이다.안성맞춤으로 유명한 유기그릇은 늘 고을 수령들에게 탐나는 물건이었다고 한다.궁궐이나 관가에서 이 고을 수령을 통해 유기그릇 주문이 오면 수령은 언제나 여러 벌의 수를 덧붙여 제 몫을 챙기곤 했다.또 안성장으로 흥청대던 이곳은 벼슬아치들이 토색질을 예사로 알았다고 한다.이에 하도 이물이 난 고을민들은 수령이 새로 부임해 올라치면 그날로 공덕비를 세우곤 했다.공덕비를 봐서라도 차마 양심에 가책되는 일일랑 하지 말아달라는 뜻이었고,실제 그러한 묘수가 먹혀들었다고도 전해 온다. 이 고을 주민들의 재치가 시원스럽기만 하다.
*한국문화유산답사회 지음 '답사여행의 길잡이'중에서*
'☆~ 풍경소리 > 경 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성청룡사동종(安城靑龍寺銅鍾).경기 안성 (0) | 2017.09.25 |
---|---|
안성 역사공원 관노이주효자정문비(安城歷史公園官奴李注孝子旌門碑).경기 안성 (0) | 2017.09.21 |
안성객사(安城客舍).경기 안성 (0) | 2017.09.18 |
안성 두현리석조삼존불상(安城 斗峴里石造三尊佛像).경기 안성 (0) | 2017.09.17 |
안성 칠장사부도(安城七長寺浮屠).경기 안성 (0) | 2017.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