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남양주 수락산 흥국사(南楊州 興國寺).경기 남양주 본문
남양주 수락산 흥국사(南楊州 興國寺)
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58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수락산(水落山)에 있는 절.
덕절(德寺)이라고도 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599년(진평왕 21)원광(圓光)이 창건하여 수락사(水落寺)라 하였으며, 그 뒤 조선 중기까지의 역사는 전래되지 않고 있다. 1568년(선조 1)에 왕이 이 절에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을 짓고 편액(扁額)을 하사하여 흥덕사(興德寺)로 개칭하였는데, 민간에서 덕절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이 원당 때문이다. 1626년(인조 4) 다시 흥국사로 개명하였다.
1793년(정조 17) 왕실의 시주를 받아 기허(騎虛)가 대웅전을 중수하였다. 1818년(순조 18) 만월전(滿月殿)과 양로실(養老室)을 제외하고 모든 요사(寮舍)가 불타버린 뒤, 4년 만에 왕명에 의하여 기허가 대웅전 등 법당과 요사를 중건하였고, 1856년(철종 7)은봉(隱峰)이 육면각(六面閣)을 중수하고 단청하였으며, 1870년(고종 7) 시왕전(十王殿)을 중수하였다. 1878년에 다시 불타버린 것을 용암(庸庵)이 중건하였으며, 1888년제암(濟庵)이 법당과 요사를 중수하고 단청하였다. 이 절은 덕흥대원군의 묘소를 모신 이래 왕가(王家)에서 편액을 내리고 중수·중건을 몇 차례 실시하는 등 각별한 관심을 보였던 특별한 사찰이다. 특히, 1790년(정조 14)에는 봉은사(奉恩寺)·봉선사(奉先寺)·용주사(龍珠寺)·백련사(白蓮寺) 등과 함께 나라에서 임명하는 관리들이 머무르면서 왕실의 안녕을 비는 오규정소(五糾正所)의 한 사찰로 채택되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6호로 지정된 대웅보전을 비롯하여 영산전(靈山殿)·시왕전·독성전(獨聖殿)·만월보전(滿月寶殿)·반산암·단하각·응향각·만세루(萬歲樓)·승방(僧房) 등이 있다. 전해 오는 보물로는 조선 중기의 작품으로 보이는 경판(經板)이 보존되어 있다. 원래 안해장전(安海藏殿)에 보관되어 오던 것으로, 미타경족자판(彌陀經簇子板) 1부, 연종보감판(蓮宗寶鑑板) 1부, 미타경판(彌陀經板) 1부, 십육관경판(十六觀經板) 1부 등이 남아 있다. 이들은 모두 남호대사(南湖大師)가 직접 써서 판각한 것이다. 이 밖에 어필병풍(御筆屛風) 1권 및 십장생화병풍(十長生畵屛風) 1좌가 있고, 이름이 전하지 않는 고승의 부도(浮屠) 2기가 남아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자료*
'☆~ 절집.절터 > 경 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주 회암사지(楊州 檜巖寺址).경기 양주 (0) | 2019.06.14 |
---|---|
남양주 운악산 봉선사(南陽州 雲岳山奉先寺).경기 남양주 (0) | 2019.06.10 |
이천 소고리사지(利川 所古里寺址).경기 이천 (0) | 2018.08.31 |
이천 자석리사지(利川 自石里寺址).경기 이천 (0) | 2018.08.25 |
이천 설성산 신흥사(利川 雪城山新興寺).경기 이천 (0) | 2018.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