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수덕사유물(거문고) (修德寺遺物(거문고)).충남 예산 본문
수덕사유물(거문고) (修德寺遺物(거문고))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 수덕사
만공스님께서 고종의 다섯째 아들인 이강(李堈)공 의친왕(義親王)으로부터 하사받은 것으로 전해지는 거문고이다. 뒷면에는 조선 후기의 대감식안(大鑑識眼)이었던 육교 이조묵(李租默 : 1792-1840)이 1837년에 쓴 초서로 된 찬문(撰文)과 만공스님의 게송(偈頌)이 새겨져 있다. 찬문에는 이 거문고가 본래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 1352-1374)의 소장품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거문고 후면 기록
九雷環佩
● 찬문<撰文>
玄琴富如董蒲唯環佩爲至寶者
恭愍王得神桐而製此耳
其後冶隱珍藏而名賢高士無不爭奏聲韻之淸爽特餘事
歟澤堂銘汾西等惜剛半磨滅足證世之質造上可幸也
丁酉竹碎日六橋撰仍題
현금(玄琴)이 넉넉하기는 동포(董蒲) 같지만 환패(環佩)는 지보(至寶)로 삼을만하다.
공민왕이 신령스러운 오동을 얻어 이것을 만들었으니 그 후 야은이 진장(珍藏)하고 명현고사들이 그 맑고 상쾌한 소리와 가락(聲韻)을 특여사(特如事)로 삼아서 다투어 켜지 않음이 없었다.
택당(澤堂)의 명(銘)과 분서(分西) 등과 더불어 진실로 아꼈으니 이제 거의 마멸되었으나 그 질은 세간에 증명하기 충분하여 참으로 다행스럽게 여기는 바이다.
정유년에 대를 쪼개는 날 육교(六橋)는 이에 제(題)를 찬한다.
● 게송<偈頌>
一彈云是甚 曲 是體玄曲也
一彈云是甚 曲 是句玄曲也
一彈云是甚 曲 是玄玄曲也
一彈云是甚 曲 是石女心中 劫外曲也
湖西德崇山金仙洞小林草堂 佛記二九六四年
한 번 퉁기고 이르노니 이는 무슨 곡조인가
이는 체(體)의 현현한 곡이로다.
한 번 퉁기고 이르노니 이는 무슨 곡조인가
이는 일구(一句)의 현현한 곡이로다
한 번 퉁기고 이르노니 이는 무슨 곡조인가
이는 현현하고 현현한 곡이로다
한 번 퉁기고 이르노니 이는 무슨 곡조인가
이는 돌장승의 마음 가운데 겁 밖의 곡이로다.
아하.
호서덕숭산금선동소림초당 (불기 2964년)
*수덕사근역성보박물관자료*
'☆~ 풍경소리 > 충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덕사 무량수각 편액(修德寺 無量壽閣 編額).충남 예산 (0) | 2020.10.10 |
---|---|
수덕사 소조관음보살좌상(修德寺 塑造觀音菩薩坐像).충남 예산 (0) | 2020.10.04 |
예산 수덕사칠층석탑(修德寺七層石塔).충남 예산 (0) | 2020.10.03 |
예산 남연군비 (禮山 南延君碑).충남 예산 (0) | 2020.01.05 |
예산 남연군의묘(禮山 南延君墓).충남 예산 (0) | 2020.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