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수덕사 무량수각 편액(修德寺 無量壽閣 編額).충남 예산 본문
수덕사 무량수각 편액(修德寺 無量壽閣 編額)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 수덕사
현재 추사고택과 근접해 있는 화암사(華巖寺)는 김정희 일가(一家)가 왕으로부터 하사받은 별사전(別賜田)지역 안에 있으며, 그 가문의 원찰(願刹)이었다. 추사는 어려서부터 이 절을 오가며 불교에 대한 이해를 다졌는데, 그러한 인연으로 하여 ‘무량수각(無量壽閣)’과 ‘시경루(詩境樓)’편액이 추사의 친필(親筆)로 조각되었다. 이 뿐 만 아니라 大雄殿의 뒤쪽 암벽에 추사 김정희 선생의 글이 암각되어 있다.
조선후기의 대학자이자 서예가인 추사(秋史) 김정희(1786-1856)는 충청남도 예산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완당(阮堂) ㆍ 추사(秋史)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도 예당(禮堂) ㆍ 시암(詩庵) ㆍ 과파(果坡) ㆍ 노과(老果) 등의 여러 호를 사용하였다. 1819년(순조 19) 문과에 급제하여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 충청우도암행어사,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완원(阮元), 옹방강(翁方綱), 조강(曹江) 등과 교유를 통해 경학(經學), 금석학(金石學), 서화(書畵)에서 많은 영향을 받아 청나라 고증학에 바탕을 둔 시서화 일치의 예술을 추구하였다. 학문에서는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주장하였고, 서예에서는 독특한 추사체(秋史體)를 대성시켰으며, 특히 예서와 행서에 새 경지를 이룩하였으며, 금석학에도 뛰어난 기지를 발휘하기도 하였다.
또한 불교에도 조예가 깊어 北京에서 귀국길에 불경 400여 권과 불상 등을 가져와 마곡사(麻谷寺)에 기증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대의 고승인 초의 의순(草衣 意恂, 1786-1866) ㆍ 백파 긍선(白坡 亘璇, 1767-1852)과는 한 평생을 친구이자 학문적인 동반자 관계를 유지한 것으로 유명하다.
*수덕사근역성보박물관자료*
'☆~ 풍경소리 > 충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덕사유물(거문고) (修德寺遺物(거문고)).충남 예산 (0) | 2020.10.11 |
---|---|
수덕사 소조관음보살좌상(修德寺 塑造觀音菩薩坐像).충남 예산 (0) | 2020.10.04 |
예산 수덕사칠층석탑(修德寺七層石塔).충남 예산 (0) | 2020.10.03 |
예산 남연군비 (禮山 南延君碑).충남 예산 (0) | 2020.01.05 |
예산 남연군의묘(禮山 南延君墓).충남 예산 (0) | 2020.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