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이천 갈산동석불입상(利川 葛山洞石佛立像).경기 이천 본문
이천 갈산동석불입상(利川 葛山洞石佛立像).경기 이천
이천 갈산동석불입상(利川 葛山洞石佛立像)
이천시 향토유적 제7호
이천시 갈산동 76-2
이천시 갈산동과 안흥동 경계지점이 되는 도로변 10m가량 떨어진 부락안 미륵사 보호각에 안치되어 있다.
이 화강암 석불은 조성 당시 상하 두 부분으로 나뉘어 허리 부분에서 연결하도록 조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오래 전 쓰러져 목 . 몸체 .허리부위 등이 떨어진 채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80년경 시멘트 보강으로 현재의 위치에 복원해 놓은 것이다.
머리는 소발(素髮)로 높직하고 위가 편편하여 두건을 쓴 모습과 흡사하고, 상호는 원만하나 양쪽 볼이 약간 비대하여 고려불상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이마의 큼직한 백호공은 보주(寶珠)를 박았던 흔적이 역연(歷然)하며, 양미간은 밑을 굽어보며 조는 듯한 수려한 모습이다.
목에는 3도(道)가 뚜렷하게 법의는 통견으로 양팔에 걸쳐 밑으로 흐르면서 약간씩 퍼져 있고 허리에서 발목에 이르는 의문(衣文)이 특이하다. 요대를 두른 허리 복판을 묶은 결대의 조각이 또한 주목된다. 수인은 오른손을 가슴에 들어 손바닥을 외향하게 해 엄지와 검지를 마주 대었다.
손바닥에 뚜렷이 새긴 손금이 재미있고, 왼손은 똑바로 내려 옷자락 위에 대었다. 불상은 정방형 대좌 위에 받들어 세웠는데, 전체 높이 414cm, 불두 높이 103cm, 불신 높이 311cm, 불상 앞에는 한 변이 57cm, 높이 39cm인 정사각형의 탑신석이 상석으로 놓여 있다.
전체적으로 동체가 두상에 비해 가늘고 길어 부조화를 이룬 것이 특징으로, 불상의 조성 연대는 고려 중기로 추정된다
*이천시청자료*
'☆~ 풍경소리 > 경 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 하리삼층석탑(驪州下里三層石塔).경기 여주 (0) | 2023.09.24 |
---|---|
여주창리삼층석탑(驪州倉里三層石塔).경기 여주 (0) | 2023.09.24 |
남양주 묘적사 팔각다층석탑(南楊州 妙寂寺 八角多層石塔).경기 남양주 (0) | 2019.07.08 |
남양주 불암사 목조석가여래좌상(佛庵寺 木造釋迦如來坐像).경기 남양주 (0) | 2019.07.06 |
양주 회암사지 박물관(楊州 檜巖寺址 博物館).경기 양주 (0) | 2019.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