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3)
바람처럼 떠나다
경주 감은사지동ㆍ서삼층석탑(慶州 感恩寺址東ㆍ西三層石塔) 국보 제112호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3, 55-9 감은사터 넓은 앞뜰에 나란히 서 있는 쌍탑이다.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서로 같은 규모와 양식을 하고 있으며, 옛신라의 1탑 중심에서 삼국통일 직후 쌍탑..
감은사터(感恩寺址) 사적 제31호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경주에서 추령재를 넘어 대종천(大種川)을 따라 바다로 흘러가는 곳이 바로 동해구(東海口)이다 신라 문무왕(文武王.661~681)은 삼국을 통일한 뒤 부처의 힘을 빌어 왜구의 침입을 막고자 이 곳에 절을 세웠다. 절을 완공하기 전에 죽..

감은사터 동서 삼층석탑(感恩寺址東西三層石塔) 감은사터석탑은 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세워진 모든 삼층석탑의 시원(始原)이 되는 석탑이다.석탑은 미륵사터석탑으로 백제에서 시작되었으나 그것은 단지 재료가 석재일 뿐 전체적으로 목탑의 구조를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복잡한 목조 구조를 단순화시킨 석탑 양식은 감은사터석탑에서 시작되었다.그것이 성립된 시기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시점이라는 점은 또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먼저 지대석과 기단부에서 눈에 띄는 점이 있다.동탑의 경우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서탑의 경우 탑 주변으로 인도 스투파의 베티카에 해당하는 일정한 너비의 탑구(塔區)가 마련되어 있다.이를 따라 자연스럽게 탑을 돌 수 있으며 그 자체가 탑을 예배하는 탑돌이가 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