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보물 제229호 (2)
바람처럼 떠나다

여주 신륵사보제존자석종비(神勒寺普濟尊者石鐘碑) 보물 제229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건립된 보제존자 혜근의 탑비.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379년(우왕 5)에 건립. 전체높이 212㎝, 비신높이 121㎝, 너비 61㎝. 지대석과 3단의 장방형 대석 위에 비신을 얹었는데 상단의 대석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비신은 대리석으로 양옆에 화강암기둥을 세워 보강하고, 그 위에 목조건물의 공포와 기왓골을 조각한 옥개석을 얹었다. 신라시대 이래로 귀부와 이수를 갖춘 일반화된 석비 형식이 고려 말기에는 대석과 옥개석으로 변형되기 시작하는데, 바로 이 비가 고려 말기의 석비 형식을 잘 보여준다. 보제존자 혜근은 선교양종의 통합운동을 통해 불교 재..
보제존자 석종비(普濟尊者 石鐘碑) 보제존자 석종부도의 바로 뒤편에 서 있다 석종부도를 조성하고 묘역을 가꾼 무렵인 고려 우왕 5년(1379)에 건립하였다 '여흥군 신륵사 보제사리 석종기'로 시작되는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인 이색(李穡)이 짓고 서예가로 이름 높은 한수(韓脩)가 썼다 선교 양종의 통합에 힘쓰던 여말의 고승 나옹화상은 1376년 양주 회암사에서 밀양 형원사로 가던 도중 이곳 신륵사에서 입적하였다 비에는 보제존자가 살다 간 내력과 사상이 기록되어 있으나 파손이 심해 육안으로는 쉽게 읽기가 어렵다 전면 끝부분에 찬한이와 쓴이,각한이,이 비의 건립자 등의 이름이 있고 후면에는 진당시(眞堂詩)와 함께 200여 명의 문도와 추모자의 이름이 해서체로 씌어있다 대장각기 비와 함께 중요한 금석문 자료이다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