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불국사 당간지주(佛國寺 幢竿支柱).경북 경주 본문
불국사 당간지주(佛國寺 幢竿支柱)
불국사 입구 서편 연화.칠보교 앞에 2기의 당간지주가 동서로 마주 서있다
2기의 당간지주가 원위치인지는 불분명하다
미륵사지와 같이 대규모의 사찰에서 2기의 당간지주가 세워질 경우
좌우대칭을 이루며 나란히 배치되었던 것으로 보아
불국사 당간지주도 원래는 동서로 위치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기단은 결실되었지만 지주 하단부의 치석 수법으로 보아
정연한 기단부가 마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랑사지 당간지주와 같이 기단을 결구하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간대석은 서편 당간지주와 같이 기단을 결구하였던 흔적이 남아있다
간대석은 서편 당간지주만 남아 있는데
사각형 대석(臺石)으로 상부에 높은 원좌(圓座,지름 61cm)와 원공(圓孔,지름 45cm,깊이 5cm)을 시공하였다
동편 당간지주도 원래는 동일한 간대석을 마련하였을 것으로 보이며
원좌와 원공 시공 수법으로 보아 철당간이나 목당간을 세웠을 것을 보인다
지주부는 3주(柱)가 동일한 수법으로 치석되었는데,
동편 당간지주는 간공 부위가 절단되어 시멘트로 보수한 흔적이 있다
지주 전후면과 외면 외곽에 일정한 너비(8~9cm)로 윤곽대(輪廓帶)를 돌려 장식하였으며
외면 중앙에는 1조의 세로띠를 추가 장식하였다
그리고 외면은 지주 중간 부분을 1단 낮게 깎았다
이러한 장식 수법은 화려한 외관을 보이는 당간지주에 많이 채용되었다
정상부는 내면에서 외면으로 나가면서 유려한 호선을 형성하도록 치석하였고
그 중간에 1단의 굴곡을 두었다
그런데 서편 당간지주의 서쪽 지주는 각 면을 거칠게 다듬었으며
특별한 장식 수법이 없고,다른 지주와 치석 수법이 다르다
당간을 고정하는 간은 간구와 간공을 시공하여 끼우도록 하였다
동편 당간지주의 동쪽 지주는 간구(9x7cm,깊이 9cm)를 내면 꼭대기에 시공하고
지주 중간부분에 사각형의 간공(13x9cm,깊이 9cm)를 마련하였다
동편 당간지주의 서쪽 지주는 내면 꼭대기에 간구와 함께 2개의 사각형 간공(15x9cm,깊이 9cm)을 시공하였다
그리고 서편 당간지주는 내면 꼭대기에 간구를 마련하였고,지주 중간부에 간공을 1개씩 시공하였다
그런데 서편 당간지주들은 지주부의 치석 수법이 상이함과 아울러 간공의 높이도 다르다
서편 당간지주의 서쪽 지주는 평면 사각 석주형으로 표면에 특별한 장식이 없다
이와 같이 지주부의 치석 수법뿐만 아니라 간공과 간구의 시공 수법이 다른 것으로 보아
후대에 보강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불국사 당간지주는 경주 지역에 있는 당간지주들 중에서도 우수한 치석과 장식 수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주부에 윤곽대를 돌리고,외면을 1단 낮게 깎은 치석 수법은
삼랑사지.경주 동천동.경주 전 주전지 당간지주 등과 강한 친연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경주 지역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세워진
고령 지산동.법광사지 당간지주 등과도 양식이 상통하고 있다
3주의 당간지주는 치석 수법과 불국사의 연혁으로 보아 8세기 중후반경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서편 당간지주 서쪽지주는 후대에 보강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시기는 고려 전기인 것으로 보인다
*엄기표 지음 '한국의 당간과 당간지주'중에서*
(불국사 당간지주의 사진이 많이 부족하다
이 사진을 찍었을 때가 4년 전쯤인데 그 때는 당간지주에 별 관심을 두지 않았던 때였다
오로지 당간지주만을 보기 위하여 불국사를 다시 찾아야 겠다)
'☆~당간지주 > 통일신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彌勒寺址 幢竿支柱).전북 익산 (0) | 2008.05.21 |
---|---|
부석사 당간지주(浮石寺 幢竿支柱).경북 영주 (0) | 2008.05.19 |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慶州九黃洞 幢竿支柱).경북 경주 (0) | 2008.05.17 |
당간지주의 건립 (0) | 2008.05.16 |
당간지주의 분포와 특징에 대하여 (0) | 2008.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