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河南 下司倉洞 鐵造釋迦如來坐像).국립중앙박물관 본문
춘궁리철조석가여래좌상(春宮里鐵造釋迦如來坐像)
남한산성이 용의 머리,춘궁동은 용의 꼬리에 해당한다고 한다.그 백제 궁터 춘궁동엔 서로 아우르듯 사방에 절이 있었다는데 애석하게도 오늘날 온전히 남아 있는 절은 없다.아니,절터마저도 흔적이 없다
다만 이 지역에 대단한 사찰이 있었던 것만은 확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춘궁동 절터 옆 하사창동에서 거대한 철불이 발견되었다.일제강점기에 어디론가 옮겨졌다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높이가 2.88m나 되는 이 철불은 고려시대 초기작으로 철을 다루는 기술이 보다 세련된 시기에 조성되었음을 보여주는 불상이다.솜씨가 정교하고 전체적인 균형감도 뛰어나다.다만 둥글고 원만한 얼굴형인 데 비해 윤곽은 작고 날카로워 우직스런 인상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큼직한 백호 아래로 칼날 같은 콧등에서 내려온 미선(眉線)은 아름다우나 코는 작고,예리하게 치켜올라간 눈과 눈썹,앙다문 작은 입,머리는 작은 나발이고 육계는 크며 귀는 만인의 부름을 경청할 듯 유난히 크고 길다.
금불상이나 목불상에 반란이라도 일으키듯 철불이 유행하던 시기가 있었다.'무쇠'라고 부르는,전혀 새로운 재료가 거칠고 파격적인 철불을 조성했던 시기는 신라시대 후반부터 고려 전반기에 걸친다.또 한번 우리 역사상 중요한 전환기를 맞는 대변혁기였다.
잦은 민란과 전쟁으로 민중은 지배체제의 재편과 새로운 문화와 사상을 갈망하였다.이러한 민중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새로운 사회를 주도해나간 계층은 지방호족세력 이들은 마침내 지방연합정권을 형성해 고려왕조를 탄생기키고 민심을 수습한다.
지방호족들은 주로 선종과 관련이 깊다.신라 말기 중국 유학승을 통해 들어온 선종사상은 누구나 수행하고 깨치면 부처가 된다는 사상이다.누구나 깨달으면 부처도 임금도 무지렁이도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니 이는 곧 신분제사회의 붕괴마저 초래할 수 있는 파격적인 것이었다.
이 엄청난 사상이,지금까지 교종 중심의 지식불교,왕실불교였던 기성체제에 도전하게 된 것이었다.이는 곧 권력의 그늘에서 소외되어온 민중들에게 획기적인 반향을 일으키며 지방호족의 변혁열기를 북돋우고 정당화시키는 사상적 밑바탕이 되었다
그 무렵 지방에서는 각 지방의 특성을 고려한 선종사찰이 속속 개창되었다.이 시기에 조성된 철불은 당연히 선종사찰에 봉안됐다.더러는 교종과의 분명한 차별을 위해 금부처가 아닌 철불을 조성하기도 하였으나 철불은 은연중 이 시대의 새로운 지배계층인 호족들을 닮아갈 수밖에 없었다.
이제 새로운 지배계층이 된 호족들 철제 농기구를 다루며 살고 있던 그들의 자화상인 철불은 자연 파격적이고 도전적인 개성미를 띠게 되었다.부드럽고 온화한 부처의 정형보다는 무인풍의 기상과 패기,자신감 넘치는 불상으로 변모해간 데는 차갑고 예리하며 강인한 인상을 주는 철이라는 재료 탓도 크다.철불은 재료의 특성과 소외계층이라는 복합요소가 작용하여 한 시대를 구분짓는 작품으로 표출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불상의 이미지는 오히려 그들에게 생동감과 현실감을 주었다.그들의 절대자는 지금 이 현실에서 자신들과 똑같은 모습으로 존재하며 새로운 이상세계를 안내하는 것이었다.
신라 말경에 제작한 철불은 서산 보원사터,장흥 보림사,철원 도피안사,남원 실상사,청양 장곡사 등 모셔진 지역도 넓다.이 시기에 활동했던 선풍의 영향력을 말해주는 것이다.반면에 고려시대 철불은 충주시 단호사.대원사 등 충주지역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특히 이 시기에는 상호와 모양새 등 그 지방의 특징을 갖춘 불상들이 조성되었다
신라시대 철불은 대개 지권인을 한 비로자나불이었고 고려시대 철불은 주로 항마촉지인을 한 석가여래불이다.호족세력이 강했던 고려시대 철불이 일체 중생 구원의 법신불에서 악을 정복하는 항마촉지인으로 바뀌는 역동적인 변화도 시대적인 흐름과 무관하지 않을 듯싶다.철불은 고려 전반기까지 활발하게 제작되어 왔는데 그 중에도 광주 출토 철불은 가장 규모가 크고 아름답다.삼도가 뚜렷한 목과 당당한 어깨,오른쪽 어깨에 걸친 얇은 법의,가슴을 싸안은 생동감 있는 옷주름 등 신라 말 철불의 개성 있는 인상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보물 제332호이다.
*한국문화유산답사회 지음 '답사여행의 길잡이'중에서*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河南 下司倉洞 鐵造釋迦如來坐像)
보물 제332호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경기도 광주군 동부면 하사창리의 절터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철불 좌상이다.
얼굴은 둥글지만 치켜 올라간 눈, 꼭 다문 작은 입, 날카로운 코의 표현에서 관념적으로 변해가는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목에는 3줄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게 표시되어 있으나 가슴까지 내려와 목의 한계를 명확히 구분짓지 않고 있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만 감싸고 있는 옷에는 간결한 옷주름이 표현되었다.
당당한 어깨와 두드러진 가슴은 석굴암 본존불의 양식을 이어 받은 것이며, 날카로운 얼굴 인상과 간결한 옷주름의 표현은 고려 초기 불상의 전형적인 표현 기법이다.
통일신라 불상양식을 충실히 계승한 고려 초기의 전형적인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문화재청자료*
'☆~ 바람소리 >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1 |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1 |
천안 천흥사 동종(天興寺 銅鐘).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0.28 |
상주박물관.경북 상주 (0) | 2008.09.01 |
안흥사오층석탑 (安興寺五層石塔).국립중앙박물관 (0) | 2008.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