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ags
-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나주 노안면 쌍계정 옆의 푸조나무 본문
푸조나무 (식물) [Aphananthe aspera]
느릅나무과(―科 Ulm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
키는 20m까지 자란다. 수피(樹皮)는 담회갈색이며, 피목(皮目)이 세로로 길게 발달한다.
어긋나는 잎은 밑이 좌우 서로 같지 않고 가장자리에 톱니들이 있으며, 중앙맥[中肋]에서 2차맥이 나란히 나오고 제일 아래쪽의 2차맥에서 3차맥이 나란히 나온다. 연한 초록색의 꽃은 5월경 수꽃은 가지의 아래쪽에, 암꽃은 위쪽에 따로따로 한 그루에 핀다. 열매는 10월경 조그만 공처럼 생긴 핵과(核果)로 까맣게 익어 날것으로 먹는데 단맛이 난다. 공원수나 풍치수로 심으며 특히 바람에 잘 견디어 방풍림에 적당하다.
뿌리를 깊게 내리지만 빨리 자라고 가지치기를 해도 쉽게 가지가 나오므로 옮겨 심기가 쉬우며,기름진 땅에서 잘 자란다. 한국에서는 주로 남쪽 지방에서 자라며,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의 푸조나무는 천연기념물 제35호,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어산리의 푸조나무는 제268호,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의 푸조나무는 제311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申鉉哲 글
'☆~관심.호기심 > 나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남 천년수(海南 千年樹).전남 해남 (0) | 2009.09.03 |
---|---|
진도상만리비자나무.전남 진도 (0) | 2009.08.30 |
영동 반야사 배롱나무.충북 영동 (0) | 2009.01.17 |
천안 광덕사호두나무.충남 천안 (0) | 2008.11.03 |
호두나무 (0) | 2007.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