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함양 금대사(金臺寺).경남 함양 본문
함양 금대사(金臺寺)
경남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산17-1번지
금대사는 656년(신라 태종무열왕 3) 행우(行宇)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다만 당시부터 이름이 금대암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또 행우
도 행평(行平)으로 적은 곳도 있어 분명하지가 않다. 그렇지만 지금 금대암 마당에 있는 사찰 안내판에 행호(行乎) 스님이 창건한 것
으로 되어 있는 것은 분명한 잘못인 것으로 보인다.
그 뒤 통일신라시대 말에 도선(道詵, 827~898) 국사가 나한전을 지어 중창하면서부터 나한도량으로 이름이 났다. 나한도량의 전통은
지금까지 이어온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1430년(세종 12) 천태종의 판사도대선사(判事都大禪師)인 행호(行乎, ?~?) 스님이 안국사(安國寺)와 함께 중창
하여 금대사(金臺寺)라고 하였다. 사적기가 남아 있지 않아서 그 밖의 역사는 잘 알 수 없고, 문인들의 기행문 등 다른 기록을 통해
일부나마 알 수 있을 따름이다.
현대에 와서는 1950년에 일어난 6·25전쟁 뒤 폐사된 것을 금대암복구기성회가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금대사는 덕유산에서 뻗어 내려온 금대산 정상 가까이 자리하여 터가 썩 넓은 편은 아니지만, 정상에 가까운 곳 치고는 그런대로 좁지
않게 가람이 들어서 있는 편이다.
금대사의 가람배치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나한전과 금대선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한전은 대웅전보다 한 단 높은 곳에 위치하고, 요사
인 금대선원은 대웅전과 마당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
나한전 뒤에는 다소 널찍하고 평평한 자리가 있는데, 예전에는 이 곳이 주요 경내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이곳 한쪽에 바로 바
위에 붙어서 고려시대 초기에 만든 자그마한 삼층석탑이 있다.
현재 금대암의 가람 구성은 대웅전을 비롯하여 나한전·요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정문화재로는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4호 삼층
석탑,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69호 범종,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70호 신중도 등이 있다.
*대한불교진흥원자료*
'☆~ 절집.절터 > 경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청 삼장사지(山淸 三狀寺址).경남 산청 (0) | 2016.12.18 |
---|---|
밀양 미륵사(密陽 彌勒寺址).경남 밀양 (0) | 2015.04.23 |
함양 벽송사(咸陽 碧松寺).경남 함양 (0) | 2011.05.21 |
함양 보림사(咸陽 寶林寺).경남 함양 (0) | 2011.05.20 |
함양 승안사지(咸陽 昇安寺址).경남 함양 (0) | 2011.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