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처럼 떠나다

괴산봉학사지석조여래좌상(槐山鳳鶴寺址石造如來坐像).충북 괴산 본문

☆~ 풍경소리/충 북

괴산봉학사지석조여래좌상(槐山鳳鶴寺址石造如來坐像).충북 괴산

푸른새벽* 2017. 12. 30. 00:27


























































괴산봉학사지석조여래좌상(槐山鳳鶴寺址石造如來坐像)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보광사에 있는 고려 초기의 불상. 높이 1.05m.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호. 보광사 대웅전 내에 좌우 2구의 보살좌상과 함께 삼존의 형태로 모셔져 있으며 전면에 호분을 바르고 부분적으로 채색을 가하여 원형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나 각부의 표현이 정제된 원만상호를 보여준다.


높이 1.05m.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호. 보광산(普光山) 보광사 대웅전 내에 좌우 2구의 보살좌상과 함께 삼존의 형태로 모셔져 있는 석조여래좌상이다.


본래는 봉학사지라고 하는 옛 절터에서 동리 뒤편 기슭으로 굴러 떨어져 매몰되었던 것을 지금의 사찰에서 수습하여 대웅전 건물을 신축한 후 주존불로 봉안한 것이라고 한다.


이 불상은 전면에 호분(湖粉)을 바르고 부분적으로 채색을 가하여 원형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그러나 각부의 표현이 정제된 원만 상호(圓滿相好)를 보여 준다.턱을 당겨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수그린 듯한 차분한 인상의 얼굴은 둥근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에 가깝다. 반듯한 이마와 검은 칠을 입힌 두부(頭部)와의 경계가 뚜렷하다.나발(螺髮)의 정상부에는 육계(肉?)가 큼직하다.그리고 미간의 백호(白毫)는 결실되어 수정으로 보강하였다. 단정하게 반원을 그리고 있는 양 눈썹이 선명하며 눈은 가늘게 내리뜨고 있다. 눈초리가 약간 치켜 올라가고 있다.우뚝하게 솟은 코는 콧마루를 편평하게 깎았으며 그 아래로는 빨갛게 칠을 입힌 작은 입술을 다물고 있다. 매끄럽게 다듬은 양 볼의 좌우로는 두 귀가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으며, 목에는 삼도(三道)를 돌리고 있다.


각진 사각의 어깨에는 우견 편단(右肩偏袒)의 대의(大衣)를 걸쳤다. 신체의 굴곡이 배제된 경직된 옷주름 선을 보여 주고 있다.넓게 터진 가슴에 왼쪽 손목을 휘감은 옷자락이 무릎 위로 무겁게 늘어지고 있으며 수평을 이루는 군의(裙衣) 상단이 허리를 가로지르고 있다.결가부좌(結跏趺坐)한 나지막한 무릎은 두꺼운 옷속으로 감춰져 부피감을 전혀 느낄 수 없다. 가지런히 놓인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굳은 손 모양이 이러한 견고함을 더하고 있다.


여래상은 왼쪽 손목이 보강되었을 뿐 보존 상태는 극히 양호한 편이다. 불상의 조성 연대는 상호와 입술에서 보이는 경직성, 착의형식, 옷자락 무늬 형태 등에서 고려 초기로 추정된다. 경내에 있는 오층석탑과 시간적 격차가 그리 크지 않으리라 여겨진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괴산봉학사지석조여래좌상(槐山鳳鶴寺址石造如來坐像)


시도유형문화재 제30호(괴산군)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 


불신만 남아 있는 이 불상은 왼쪽 팔목의 보수를 제외하면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신체에 비해서 큰 얼굴은 앞으로 숙여져 있으며 옷은 왼쪽 어깨만을 감싸고 있다. 손은 오른손 바닥을 무릎에 대고 손끝이 아래를 가리키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꼽 앞에 놓은 모습이다.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얹어 놓은 앉은 자세는 그 예가 드문 편이다.


평판적이고 굴곡이 없는 네모진 상체, 목에 있는 3개의 주름, 둔감한 옷주름선 등에서 도식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조선시대 불상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