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처럼 떠나다

장흥 보림사 서 승탑(長興 寶林寺 西 僧塔).전남 장흥 본문

☆~ 풍경소리/전 남

장흥 보림사 서 승탑(長興 寶林寺 西 僧塔).전남 장흥

푸른새벽* 2018. 12. 27. 09:02

































장흥 보림사 서 승탑(長興 寶林寺 西 僧塔)


보물 제156호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50 보림사 


보물 제156호. 2기. 높이 3m. 보림사 경내로 들어가는 서쪽 입구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있다. 2기의 부도가 함께 나란히 서 있는데 모두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으로 기본형태는 같으나 장식수법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중 서부도에는 네모난 지대석(地臺石) 위에 변형된 이색적인 8엽복련석(八葉覆蓮石)이 놓였는데, 그 형식은 고려시대에 많이 사용되던 여의두문(如意頭文)과 비슷하다. 복련 밑에는 높은 3단의 받침이 있고 윗면에는 1단의 각형(角形) 몰딩(moulding)이 있다.


중대석(中臺石)은 8각 모서리에 연주형(連珠形)의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새겨졌고 각 면에는 원형의 안상(眼象)이 조각되어 있다. 상대석(上臺石)에는 단판8엽(單瓣八葉)의 앙련(仰蓮)이 새겨져 있는데, 판내에는 타원형의 윤곽 속에 네 개의 꽃모양이 조각되었으며 윗면에는 1단의 탑신받침이 있다.


8각으로 된 탑신(塔身)에는 우각(隅角)의 표시가 없고 앞면 한 면에는 호형(弧形)과 자물쇠, 그 밑에 두 개의 문고리가 각각 모각되었다.


옥개석(屋蓋石)은 좁으며 8각으로 되었고 아랫면에 1단의 받침이 있을 뿐 다른 조식은 없고 추녀 밑은 직선이다. 윗면은 경사가 급하며 우동(隅棟 : 탑 옥개석의 귀마루)을 따라 내려와 전각(轉角)에서 반전(反轉)이 있을 뿐 귀꽃은 없다.


상륜부(相輪部)에는 낮은 편구형(扁球形)의 복발(覆鉢)과, 연잎과 앙련에 싸인 작은 보주(寶珠)가 포개져 있다. 형태는 아름다우나 조각수법이 가냘프고 지나친 장식성이 눈에 띈다.


동부도에서는 하대석 가장자리에 연판이 붙은 평판적인 귀꽃이 있고 밑에는 얕은 면을 돌려 8각 각 면에 안상 2좌씩을 두었다. 또한 탑신 1면에는 문호형과 자물쇠를 모각하였다.


옥개석의 추녀에는 1단의 부연(副椽 :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있는데 대부분 파손되어서 원상태를 알 수 없다. 상륜부 역시 일부 손상되었으나 대체로 완존한 편으로 반전이 심한 보개(寶蓋)와 보륜(寶輪)·보주가 있다.


이 2기의 부도는 상륜부까지 완전한 형태를 지니고 있는 점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는데, 1941년 사리장치(舍利裝置)의 도굴로 인하여 파괴되었던 것을 1944년에 다시 건립하였으나 손상은 없다. 단정한 비례와 규칙성 있는 결구수법으로 보아 조성연대는 고려 중기로 추정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자료*



 
장흥 보림사 서 승탑(長興 寶林寺 西 僧塔)


보물 제156호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50 보림사 


보림사의 서쪽에 있는 승탑 2기로, 보림사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나란히 세워져 있다.


하나는, 전체적으로 8각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네모반듯한 바닥돌 위로 3단의 기단을 세우고 그 위에 탑신과 지붕돌을 얹은 모습이다. 기단은 아래받침돌에는 2겹의 연꽃무늬를 새기고, 두껍고 넓은 가운데받침돌은 모서리마다 구슬을 꿰어놓은 듯한 기둥을 조각해 놓아 독특한 모습이다. 윗받침돌은 아래받침돌과 그 크기와 넓이가 비슷하며, 8장의 연꽃잎을 새겨두었다. 탑신의 몸돌에는 한쪽 면에 문짝 모양을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와 문고리 2개를 본떠 조각해 두었다. 지붕돌은 윗면의 경사가 꽤 급하며,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살짝 들려있다.


또 다른 승탑도 역시 전체적으로 8각의 평면을 이루고 있는데, 기단의 모습이 위에서 말한 승탑과 거의 비슷하다. 다만 가운데받침돌에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았고, 윗받침돌이 오른쪽 승탑보다 얇고 넓다는 점이 다르다. 탑신의 몸돌 한 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짝을 새겼으며, 지붕돌은 대부분 깨어져 있어 그 원래의 모습을 볼 수 없음이 안타깝다. 위의 승탑이 완전한 형태를 지니고 지나치게 장식적인데 비해, 이 승탑은 우아하긴 하나 장식성이 떨어져 전체적으로 위축된 것처럼 보인다.


2기 모두 마무리 수법이 같으며, 만들어진 때는 고려 중기로 짐작된다. 머리장식은 모두 온전하게 남아있는데, 1941년 사리를 두는 장치가 도굴되어 1944년 다시 만들어 놓았다.
*문화재청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