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南海 只族海峽 竹防簾).경남 남해 본문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南海 只族海峽 竹防簾)
명승
경남 남해군 창선면 지족해협 일원
지족해협은 남해군 삼동면과 창선면 사이의 좁은 바다로서, 시속 13∼15㎞의 거센 물살이 지나는 좁은 물목이다. 멸치를 대표 어종으로 하는 이 일대의 어로작업은 죽방렴(竹防簾)으로 불리는 고유한 어획 방법을 시행하고 있다.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은 우리나라 전통적 어업경관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경승지로 2010년에 명승 제71호로 지정되었다.
죽방렴은 참나무 말목과 말목 사이에 대나무를 주재료로 이용해 발처럼 엮어 만든 그물을 세워 고기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명칭이다. 대나무 어살이라고도 한다. 죽방렴은 어살의 한 종류인데, ‘전통어로방식-어살(漁箭)’이 2019년 4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죽방렴은 수심이 얕은 바다에 밀물이 들어오는 방향에서 볼 때 V자 형태의 참나무로 기둥을 박고 좁아드는 끝 부분에 대나무 발과 그물을 쳐 놓은 고정식 전통어로 시설이다. 밀물을 따라 물고기들이 V자 통발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물이 빠지면 통발 입구가 막혀 고기들이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방식이다.
지족해협은 조수 간만의 차이에 따라 바닷물이 양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흐른다. 따라서 이곳은 양방향으로 흐르는 빠른 물살을 이용해 고기를 잡는 고정식 그물을 설치하기 좋은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두 섬 사이에는 섬을 연결하는 창선교가 놓여 있는데, 이 다리의 양 방향으로 죽방렴이 설치되어 있다.
지족해협에 설치되어 있는 죽방렴은 V자 형태로 설치된 시설물 20여 개소가 바다 위에 무리를 이룬다. 이곳에서 잡힌 생선은 신선도가 뛰어나 최고의 품질로 손꼽히고 있으며, 특히 죽방렴에서 생산되는 죽방멸치는 깨끗하고 신선해 남해의 특산품이 되고 있다.
*민족문화대백과사전자료*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南海 只族海峽 竹防簾-대나무어살)
명승
경남 남해군 창선면 지족해협 일원
지족해협은 시속 13-15km의 거센 물살이 지나는 좁은 물목으로, 멸치를 대표어종으로 하는 이 일대의 어로작업은 ‘죽방렴’ 으로 불리는 고유한 어획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 23개소의 죽방렴이 설치되어 있는 우리나라 전통적 어업경관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죽방렴이란 명칭은 대나무 발 그물을 세워 고기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대나무 어살이라고도 하며, 물때를 이용하여 고기가 안으로 들어오면 가두었다가 필요한 만큼 건지는 재래식 어항으로 이곳에서 잡힌 생선은 최고의 횟감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물살이 빠른 바다에 사는 고기는 탄력성이 높아 그 맛이 뛰어나다.
*문화재청자료*
'☆~ 풍경소리 > 경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南海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경남 남해 (0) | 2023.08.27 |
---|---|
남해 용문사대웅전(南海龍門寺大雄殿).경남 남해 (0) | 2023.08.26 |
남해 난곡사(南海 蘭谷祠).경남 남해 (0) | 2023.08.19 |
남해향교(南海鄕校).경남 남해 (0) | 2023.08.18 |
진주 묘엄사지 삼층석탑(晉州妙嚴寺址三層石塔).경남 진주 (0) | 2018.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