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처럼 떠나다

남해 용문사석불(南海龍門寺石佛).경남 남해 본문

☆~ 풍경소리/경 남

남해 용문사석불(南海龍門寺石佛).경남 남해

푸른새벽* 2023. 9. 1. 16:36

 

 

 

 

 

 

 

 

 

 

남해용문사석불(南海龍門寺石佛) 

시도유형문화재 제138호(남해군)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868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용문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임진왜란으로 용문사가 소실되자 절을 재건하기 위하여 공사하던 중 경내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 오는 상이다.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는 갖추고 있지 않다.

크게 결실되거나 손상을 입은 부분은 없는 듯하나, 상 전체에 회칠을 하여 원형을 알아보기 어려워 아쉬운 감이 있다. 가부좌(跏趺坐)를 틀고 앉아 있는 좌상으로 머리에 보관(寶冠)을 쓰고 있으나 원형은 짐작하기 어렵다.

관 밑으로 흘러내린 보발(寶髮)이 두 단으로 양 귀를 감싸면서 어깨 위로 흘러내리고 있어 충청남도 은진의 관촉사(灌燭寺)석조보살입상이나 부여의 대조사석조보살상에서 볼 수 있는 보발의 표현과 유사하다.

방형(方形)에 가까운 얼굴에는 가늘게 뜬 눈과 사각에 가까운 코 그리고 작은 입을 표현하였다. 보발이 감싸고 있는 귀는 길어 어깨까지 내려오며 목은 짧은 편이다. 좁은 어깨에 걸쳐진 천의(天衣)는 양팔에 한 번 걸쳐져 무릎 위로 흘러내리고 있다.

오른손은 살며시 주먹을 쥔 채 가슴에 대고 있다. 왼손은 배 앞에 대고 손바닥에는 연꽃봉오리를 받쳐 들고 있는데 잎이 단단히 모아진 꽃봉오리를 잘 표현하고 있다. 연꽃가지를 양손에 잡고 있는 보살상의 예는 있으나 이렇게 연꽃봉오리를 한 손에 받쳐 든 예는 매우 희귀하다.그리고 존명(尊名)을 알려 줄 만한 보관의 표현이나 지물을 들고 있지도 않아 구체적으로 어떤 보살을 표현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가슴에는 양감이 줄어들어 평평하고 밋밋한 신체이지만 전체적인 자세와 신체의 각 부분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좁은 어깨에 상체는 길지만 무릎 폭을 넓게 하여 안정감 있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상의 크기는 작지만 단아한 신체와 고려 전기의 석조보살상에서 보이는 세부 표현을 잘 드러내고 있는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보살상으로 추정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자료*


  
남해용문사석불(南海龍門寺石佛) 

시도유형문화재 제138호(남해군)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868  

약 300년 전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 경내에서 발견된 보살상이다. 현재는 하얀 분칠을 한 상태여서 본래의 모습을 자세히 알 수 없다.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은 원만하나 눈과 입이 작고 코가 큼직하여 다소 형식화된 면이 보인다. 긴 상체에 넓은 무릎 등은 부피감이 풍부하고 탄력적이어서 보살상의 격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쳐 흘러내리고 있는데, 띠주름 무늬가 자연스러워 불상의 특징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왼손은 배에 대고 병을 들고 있으며 오른손은 가슴에 대었는데 연꽃가지를 잡고 있었던 것 같다. 

통일신라 후기의 원만한 특징이 표현된 작품으로 통일신라 후기 내지는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