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남해 용문사석불(南海龍門寺石佛).경남 남해 본문
남해용문사석불(南海龍門寺石佛)
시도유형문화재 제138호(남해군)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868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용문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임진왜란으로 용문사가 소실되자 절을 재건하기 위하여 공사하던 중 경내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 오는 상이다.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는 갖추고 있지 않다.
크게 결실되거나 손상을 입은 부분은 없는 듯하나, 상 전체에 회칠을 하여 원형을 알아보기 어려워 아쉬운 감이 있다. 가부좌(跏趺坐)를 틀고 앉아 있는 좌상으로 머리에 보관(寶冠)을 쓰고 있으나 원형은 짐작하기 어렵다.
관 밑으로 흘러내린 보발(寶髮)이 두 단으로 양 귀를 감싸면서 어깨 위로 흘러내리고 있어 충청남도 은진의 관촉사(灌燭寺)석조보살입상이나 부여의 대조사석조보살상에서 볼 수 있는 보발의 표현과 유사하다.
방형(方形)에 가까운 얼굴에는 가늘게 뜬 눈과 사각에 가까운 코 그리고 작은 입을 표현하였다. 보발이 감싸고 있는 귀는 길어 어깨까지 내려오며 목은 짧은 편이다. 좁은 어깨에 걸쳐진 천의(天衣)는 양팔에 한 번 걸쳐져 무릎 위로 흘러내리고 있다.
오른손은 살며시 주먹을 쥔 채 가슴에 대고 있다. 왼손은 배 앞에 대고 손바닥에는 연꽃봉오리를 받쳐 들고 있는데 잎이 단단히 모아진 꽃봉오리를 잘 표현하고 있다. 연꽃가지를 양손에 잡고 있는 보살상의 예는 있으나 이렇게 연꽃봉오리를 한 손에 받쳐 든 예는 매우 희귀하다.그리고 존명(尊名)을 알려 줄 만한 보관의 표현이나 지물을 들고 있지도 않아 구체적으로 어떤 보살을 표현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가슴에는 양감이 줄어들어 평평하고 밋밋한 신체이지만 전체적인 자세와 신체의 각 부분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좁은 어깨에 상체는 길지만 무릎 폭을 넓게 하여 안정감 있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상의 크기는 작지만 단아한 신체와 고려 전기의 석조보살상에서 보이는 세부 표현을 잘 드러내고 있는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보살상으로 추정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자료*
남해용문사석불(南海龍門寺石佛)
시도유형문화재 제138호(남해군)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868
약 300년 전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 경내에서 발견된 보살상이다. 현재는 하얀 분칠을 한 상태여서 본래의 모습을 자세히 알 수 없다.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은 원만하나 눈과 입이 작고 코가 큼직하여 다소 형식화된 면이 보인다. 긴 상체에 넓은 무릎 등은 부피감이 풍부하고 탄력적이어서 보살상의 격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쳐 흘러내리고 있는데, 띠주름 무늬가 자연스러워 불상의 특징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왼손은 배에 대고 병을 들고 있으며 오른손은 가슴에 대었는데 연꽃가지를 잡고 있었던 것 같다.
통일신라 후기의 원만한 특징이 표현된 작품으로 통일신라 후기 내지는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자료*
'☆~ 풍경소리 > 경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용문사목조사천왕상(南海龍門寺木造四天王像).경남 남해 (0) | 2023.09.02 |
---|---|
남해용문사목조지장시왕상(南海龍門寺木造地藏十王像).경남 남해 (2) | 2023.09.01 |
남해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南海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경남 남해 (0) | 2023.08.27 |
남해 용문사대웅전(南海龍門寺大雄殿).경남 남해 (0) | 2023.08.26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南海 只族海峽 竹防簾).경남 남해 (0) | 202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