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처럼 떠나다

싸리나무 본문

☆~관심.호기심/나무 이야기

싸리나무

푸른새벽* 2006. 8. 26. 11:40

 

 

 

 

싸리나무 Lespedeza bicolor TURCZ.
콩과식물

 

싸리나무는 우리나라 사람이면 누구한테나 친근한 나무다.
초가을에 산기슭을 온통 연한 보랏빛으로 뒤덮는 꽃이 아름답고 사랑스러우며,
또 꽃에 꿀이 많고 꽃향기가 좋아서 벌과 나비, 사람들한테 사랑을 받는다.


다래끼나 바지게, 지팡이, 회초리 등으로 가장 흔하게 쓰는 나무여서
서민들의 생활과 가장 가까웠던 나무라고도 할 수 있다.

싸리나무를 한자로는 호지자, 또는 소형, 모형, 형조, 녹명화, 야합초, 과산룡, 야화생, 등으로 쓴다.

 

싸리나무는 콩과에 딸린 잎지는 떨기나무다.
키가 2~3미터 자라고 지름은 2~3센티미터까지 자란다.
드물게 팔뚝만큼 굵은 것도 볼 수 있다.

 

잎은 세 개의 타원꼴로 된 쪽잎이고
연한 분홍빛 또는 연한 보랏빛 꽃이 9~10월에 피어 가을에 지름 2~3밀리미터 되는 둥근 씨앗이 달린다.


우리나라 어디에나 잘 자라는데 특히 큰 나무가 우거지지 않은 양지쪽 산비탈에서 잘 자란다.

싸리나무는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하면서도 탄력이 있으며 잘 썩지 않아서
소쿠리나 광주리, 바지게 같은 것을 만드는 데 많이 쓴다.


<성경통지盛京通志>라는 책을 보면
싸리는 회초리 같으며 가지가 가늘고 부드러워서 바구니나 둥근 광주리를 만들 수 있다고 하였다.
홍싸리로는 광주리, 종다래끼, 바구니, 고리, 삼태기, 바소쿠리, 싸리비 같은 것을 만들고
조록싸리는 단단하고 줄기가 굵고 커서 지팡이를 만들고 지붕을 이었으며
울타리와 문을 엮어서 세우는 데 썼다.

싸리로 만든 문을 사립문이라고 하여 시골 서민들 집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문이었다.
사립문은 여진족한테서 전해진 풍습으로 북쪽 지방의 사람들이 많이 만들었다.


또 천연두는 역신疫神의 장난으로 여겼던 옛 사람들은
천연두에 걸리면 싸리로 작은 말을 만들어
발병한 지 12일째 되는 날에 천연두 귀신을 내쫓는 푸닥거리를 했다.
천연두 귀신을 싸리말에 태워 보내면 천연두가 낫는다는 것이다. 그
래서 집 밖으로 내쫓는 것을 일러 ‘싸리말을 태운다’는 곁말이 생겼다고 한다.


싸리나무는 재질이 단단하고 빛깔과 질감이 좋으며
가운데가 깨끗하게 잘 쪼개지므로 윷을 만들기에 가장 좋다.

<경도잡지京都雜誌>라는 책에 보면
붉은 사리 두 토막을 반씩 쪼개어 네 쪽으로 만들어 윷이라고 했으며
길이는 세 치에서 작은 것은 콩 반쪽 만한 것도 있었다고 한다.
요즘은 박달나무로 윷을 만든다.


싸리는 겨울철 땔감으로 매우 훌륭했다.
줄기에 기름이 많이 들어있어 젖은 상태에서도 불이 잘 타고 불심이 좋으며
연기가 나지 않고 오래 타는 까닭에 밥을 짓는 땔감으로 가장 좋았다.

'☆~관심.호기심 > 나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미래덩굴(명감나무)  (0) 2006.09.03
머루  (0) 2006.08.29
寶蓋山 覺淵寺의 나무들  (0) 2006.08.23
팔손이나무  (0) 2006.08.16
曹溪山 仙巖寺 의 나무들  (0) 2006.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