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강화 전등사 (11)
바람처럼 떠나다
전등사약사전(傳燈寺藥師殿) 전등사 대웅전 서쪽 옆에 있는 목조건축물로 보물 제179호이다.정면 3칸 측면 2칸에 조선 중기의 다포집 형식을 따르고 있으나 건축년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전등본말사지』에 "고종 13년(1876)에 대웅전과 함께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건물..
전등사청동수조(傳燈寺靑銅水槽) 시도유형문화재 제46호(강화군)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청동수조는 지름 112㎝, 높이 72㎝로 고려 말∼조선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청동으로 제작된 이 수조는 바리(鉢)형태를 띠고 있고, 구연부에는 덧띠를 두르고 있으며 약..
전등사수미단(傳燈寺須彌壇) 시도유형문화재 제48호(강화군)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수미단은 불상을 안치한 일종의 대좌와 같은 형식으로 대웅전 내의 천개와 더불어 장엄한 불교세계를 아름답게 묘사한 것이다. 전등사 수미단은 가로 480㎝, 세로 118㎝, 폭 200㎝로 17세기..
전등사대웅보전목조삼존불좌상(傳燈寺大雄寶殿木造三尊佛坐像) 시도유형문화재 제42호(강화군)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대웅보전(보물 제178호)에 모셔져 있는 목조삼존불좌상으로서 주존인 석가불을 중심으로 약사여래(좌측)와 아미타여래(우측)를 모신 삼세불좌..
강화 전등사(江華 傳燈寺)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는 강화에서 가장 큰 절이다.일찍이 삼랑성 안에 창건되어 강화의 역사를 더불어 열어 왔고 숨가쁘게 달려왔다.'강화'하면 전등사를 꼽는 까닭이 단지 문화재를 비롯한 볼 거리가 많아서만은 아닌 것이다. 전등사의 ..
전등사범종(傳燈寺梵鐘) 전등사에 소장된 높이 1.64m,밑지름이 1m인 중국 송나라 때 동종이다 종몸의 아래 위에 8개의 사각형 구획을 마련하고 그 안에 새긴 뚜렷한 명문이 남아 있다 명문 내용으로 이 종이 북송(北宋) 철종 소성(紹聖) 4년(1097)에 제작한 하남성 백암산(百巖山) 숭명사(崇明..

전등사 약사전(傳燈寺藥師殿) 대웅전 서쪽 옆에 있는 목조건축물로 보물 제179호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에 조선 중기의 다포집 형식을 따르고 있으나 건축년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전등본말사지』에 " 고종 13년(1876)에 대웅전과 함께 중수했다" 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건물의 내부나 외부 형식이 거의..

전등사 대웅전(傳燈寺 大雄殿) 현재의 대웅전은 조선 광해군 13년(1621)에 지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조각 기법은 그보다 한참 후대의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한눈에도 퍽 안정감이 있고 우아하게 느껴진다 막돌 허튼층쌓기로 높은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역..

전등사 대조루(傳燈寺對潮樓) 전등사 경내로 들어서 가장 먼저 만나는 아담한 2층 건물이 대조루이다 대웅전으로 오르는 문루 역할을 하고 있으며,2층에 '傳燈寺'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이곳에 오르면 서해바다의 조수가 한눈에 들어온다 해서 대조루(對潮樓)라 한다 목은 이색이 누상에 올라 읊은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