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국보 (3)
바람처럼 떠나다

계유명삼존천불비상(癸酉銘三尊千佛碑像) 충북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국립청주박물관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960년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에서 조금 떨어진 산기슭에 있는 서광암(瑞光庵)에서 발견된 것으로, 일명 서광암 삼존천불비상으로 불려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부근의 옛 절터에서 서광암으로 옮겨졌다고 전하고 있어 확실한 원위치는 알 수 없다. 이 석비상(石碑像)은 통일신라 때 연기 지방을 중심으로 조성된 이른바 ‘연기파(燕岐派)’ 불상 조각 중 가장 크다. 이 비상은 낮은 기단 위에 장방형의 비신(碑身)이 수직으로 세워진 전형적인 석비형 비상이다. 비신부는 4면으로 이루어졌으며, 앞면의 삼존불좌상을 중심으로 옆면·뒷면에까지 작은 불상을 가득 배열하고, 좌우로 조상기를 적고 ..

‘계유’가 새겨진 아미타 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960년 충청남도 연기군 비암사(碑巖寺)에서 다른 2점의 불비상(佛碑像)과 함께 발견된 아미타불삼존비상이다. 앞면은 윗부분에 비하여 아랫부분의 너비가 약간 넓은데, 가장자리를 따라서 감실형(龕室形)의 테두리를 새겼다. 그리고 그 안을 한 단 낮게 하여 상부에 커다란 이중의 주형 광배(舟形光背)를 조각하였다. 광배 좌우에는 각각 주악천(奏樂天)이 배치되었으며, 가운데 아미타불삼존상과 그 권속들이 조각되엇다. 본존주11은 복련(覆蓮)주1의 연화좌 위의 네모 반듯한 대좌에 결가부좌하였고, 협시보살과 인왕(仁王) · 나한(羅漢)주2들이 좌우에 새겨져 있다. 얼굴 부분은 마멸되어 확실하지 않으나, 머리 위..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 2023년 9월 현재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지길 50-15 법천사지 유적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다. 지광국사 현묘탑과 짝을 이루고,바로 그 곁에 서 있었을 지광국사탑은 현재 원주 법천사지 유적전시관에 있다.탑비와 함께 고려 선종 2년(1085)에 세워졌고 지광국사 현묘탑이라 불린다.스님의 사리탑이라기보다 불탑과 같은 격을 갖춘 탑으로,탑비 못지않게 화려하다.일제 강점기 때 일본 오사카까지 밀반출되었다가 반환되어 이고으로 옮겨 왔는데,한국전쟁 때 파손되어 1975년 복원한 것이 현재의 모습이다.이 탑의 수난도 우리 민족의 수난사와 더불어 골이 깊다. 전체적인 구도는 네모난 2층의 탑과 같은 모양에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페르시아풍의 창과 짧게 늘어진 커튼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