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다리 (2)
바람처럼 떠나다

옥천교(玉川橋) 홍화문을 들어서면 명정문과의 사이에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화강석으로 호안을 쌓고 바닥을 딴 어구(御溝)를 따라 명당수(明堂水)가 흐른다.어구 위에 설치하여 홍화문과 명정문을 일직선으로 잇는 돌다리가 곧 옥천교이다.경복궁의 영제교(永濟橋),창경궁의 금천교(錦川橋)와 같은 성격의 다리이다.조선시대 전기 즉,성종 시절의 창경궁 창건시 다른 전각들에 앞서 성종 14년(1843)에 놓인 것을 기록되었다 옥천교른 길이 9.9m 너비 6.6m의 규모이다.어구 가운데 큰 돌로 기석을 놓고 반원형의 홍예(虹霓)두 틀을 받쳤다.두 홍예 사이에는 귀면(鬼面)을 조각한 돌을 끼워 벽사를 도모하였다.홍예의 바깥쪽에는 장대석을 세벌대로 쌓아 하부 구조(下部構造)를 형성하였으며 그 위에 다시 장대석과 판석으로 바..

영제교(永濟橋)는 흥례문 일곽의 복원과 더불어 영제교도 제 자리를 찾았다.흥례문과 함께 조선총독부 청사 건립을 위해 일제가 철거한 이후한동안 엉뚱한 장소에 버려지다시피 방치되어 있었다.이 후 그나마 규모마저 축소하여 또다시 엉뚱한 장소에 복원되었다가 마침내 근정문 앞의 제 자리를 찾은 것이다 흥례문을 들어서면 어로(御路)를 따라 곧 돌다리가 놓여 있으니 바로 영제교이다 영제교 아래로는 어구(御溝)를 따라 명당수가 흐른다.서류동입(西流東入)하는 명당수의 물길 금천(禁川)은 태종 11년에 만든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이 금천은 임금의 공간과 바깥 공간을 구분 짓는 상징성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금천 위에 놓이는 다리를 일반적으로 금천교(禁天橋)라고 하였는데 창덕궁에 금천교(錦川橋),창경궁에 옥천교(玉川橋)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