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덕수궁 (3)
바람처럼 떠나다
신기전 화차(神機箭機火車) 신기전(神機箭)은 고려 말 최무선(崔茂宣)이 만든 주화(走火)라는 무기를 세종 30년(1448)에 개량한 것으로 대나무 화살의 앞부분에 쇠촉을 달고 그 뒤쪽에 원통형의 종이 약통(藥筒)을 부착하여 불을 붙이면 발사되는 병기이다. 신기전의 종류로는 대신기전(大神機箭).중신기전(中神機箭).소신기전(小神機箭) 등이 있는데,중신기전과 소신기전은 주로 신기전기화차에서 발사되었다. 신기전기는 지름 4.6cm의 둥근 구멍에 중신기전과 소신기전을 꽂아 사용하였다. 발사할 때에는 신기전기가 실려있는 화차의 발사 각도를 조절한 뒤,신기전 약통에 붙여진 점화선을 한데 모아 불을 붙이면 발사되었다.신기전의 사정거리는 중신기전이 150m,소신기전이 1000m가량이다. 제작 당시의 설계도가 남아 있는 ..
재수합(齋壽閤) 경복궁풍기대(景福宮風氣臺) 건춘문(建春門) 덕수궁(德壽宮) 흥천사명 동종(興天寺銘 銅鍾) 보루각자격루(報漏閣自擊漏) 신기전 화차(神機箭機火車)

덕수궁德壽宮(경운궁慶運宮) 덕수궁은 서울에 남아 있는 다른 궁궐과 마찬가지로 많은 부분이 사라지고 훼손되어 본래의 모습을 상상하기조차 어렵다 덕수궁의 돌담길 또한 원래는 덕수궁 영역의 일부로 1922년 일제가 덕수궁 서쪽에 있던 선원전(璿源殿)터를 관통하는 도로를 만들면서 생긴 길일뿐 유서 깊은 궁궐의 외곽 길이 아니다.일제는 우리의 지배권을 강탈한 뒤 덕수궁터를 조직적으로 분할 매각했는데 이는 궁궐이 지니고 있는 국권과 자치능력의 상징성을 파괴하기 위한 고도의 책략이었다.그 결과 매각된 터에는 현재의 모습처럼 외국 공사관들이 들어서게 되었다 1910년 당시의 덕수궁 평면도를 보면 덕수궁 영역이 상당히 넓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최근 미국대사관과 아파트 신축 부지로 문제가 되고 있는 선원전터와 주변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