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석불좌상 (2)
바람처럼 떠나다

여주도곡리석불좌상(驪州道谷里石佛坐像) 시도유형문화재 제160호(여주군) 경기 여주시 금사면 도곡리 산7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도곡리에 있는 고려시대 불상. 1996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전체 크기 307㎝, 불상 크기 193㎝. 원적산(圓寂山) 자락에 있는 이 석불좌상은 팔각 대좌 위에 결가부좌의 자세로 앉아 있고 현재는 보호각 안에 봉안되어 있다. 머리칼은 나발(螺髮)이며 육계(肉髻)는 마모되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왼손은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쪽으로 살짝 당겨 결가부좌한 다리 위에 얹고 오른손은 가슴 부근에 대고 있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으로 넓게 트인 대의(大衣) 안에 내의(內衣)를 입었다. 양팔에서 형성된 두터운 옷주름은 양 무릎으로 흘러내려 人자형을 ..
상주증촌리석불좌상(尙州曾村里石佛坐像) 함창 읍내에서 경북선 철길을 넘자마자 오른쪽 길로 증촌리 마을 뒤쪽으로 들어가면 아담한 암자같은 절집 용화사가 나온다.마당에 들어서면 감나무 뒤쪽에 흩어진 석재들이며 짝이 맞지 않는 지붕돌과 몸둘을 어설프게 얹어놓은 석탑 등이 오랜 옛적부터 절이 있어왔던 자리임을 짐작하게 해준다 용화사의 본전인 미륵전에는 석불 두 구를 모셔놓았다.한 분은 입상이고 한 분은 좌상이어서 서로 키도 다르고 생김새도 다르건만 사람들은 '미륵님'이라 부르며 지성으로 받든다 입상은 1.98m의 판이 그대로 광배를 이룬 가운데에도 도독하게 선 모습이다.전체적으로 많이 닳아져 광배의 세부는 자세히 드러나지 않는데 육계가 분명한 머리에 얼굴은 다소 긴 편이고 손은 앞쪽으로 모으되 아래 위로 놓여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