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이화문양 (2)
바람처럼 떠나다

석조전(石造殿)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덕수궁에 건립된 서구식 건물 중 현재의 궁역(宮域)안에 남아 있는 것은 정관헌과 석조전 뿐이다 석조전은 중화전의 서북쪽 방향,준명당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석조전은 1900년부터 1909년에 걸쳐 건립되었으며,당시 대한제국 정부에 고용되어 있던 영국인 총세무사 브라운(John Mcleavy Brown)이 고종의 환심을 사기 위해 발의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설계자 역시 영국인인 하딩(Harding. G.R.)이다.시공은 일본의 오오 쿠라구미 가 했으며,심의석(沈宜錫).일본인 오가와.영국인 데이비슨(H.W. Davidson) 러시아인 사바틴(Sabatine)등이 감독을 하였다.건물 내부 설계는 영국인 로벨(Lovell)이 맡았으며,그 공사는 영국의 크리톨(..

덕홍전(德弘殿) 덕수궁의 편전 역할을 하던 덕홍전은 중화전의 동쪽,함녕전의 서쪽에 남향으로 위치해있다.고종이 함녕전을 침전으로 사용하면서 주로 내외 귀빈을 접견하는 처소로 사용되었다.1094년의 화재로 소실되었는지의 여부는 기록에 나타나지 않지만 현존 건물은 1911년에 건립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그렇다면,덕수궁 안에서 가장 늦게 건립된 전각이다 건물 앞 기단은 2층으로 형성하였는데,양쪽에 소맷돌을 설치한 돌계단으로 오르는 아래 기단은 화강석 장대석을 두벌대로 쌓았으며 좌우 측면에도 돌계단을 놓아 소규모 월대처럼 구성하였다.안쪽 기단은 장대석 세벌대로 쌓았으며 그 위에 네모 뿔대로 다듬은 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웠다.공포는 이익공 양식이다 덕홍전은 정면이 3칸인데 비해여 측면이 4칸이다.즉,정면은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