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조선시대 건축물 (32)
바람처럼 떠나다

청주 안심사 대웅전(安心寺 大雄殿) 보물 제664호 충북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사동리 271 안심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을 인 다포집이다.이 불전은 어딘가 껑충하다는 인상을 주는데 기둥이 유난히 높은가 하고 보면 그렇지도 않다 가만히 보면 공포가 겹겹이 올라간 위에 팔작지붕이 아닌 맞배지붕이 얹히다보니 그런 느낌을 준 것인데 특이하게도 박공널과 풍판이 붙은 지붕 측면 쪽에도 공포가 돌려져 있다. 건물을 한 바퀴 돌면서 보면 뒷면 벽은 더욱 색다르다.세 칸 중 가운데 칸은 두 개의 고주 사이가 바닥부터 지붕 밑까지 모두 굵은 각재로 막혀 있고 위쪽에는 공포가 없다.양쪽 두 칸은 보통 건물들처럼 위쪽에 공포짜임이,아래쪽에는 널판문이 달려 있다.가운데 칸이 고주 두개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기..
홍주동헌 안회당(洪州東軒 安懷堂)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홍성군청 건물을 지나 뒤뜰로 가면 홍주아문과 함께 1870년에 지어진 동헌 안회당(安懷堂)이 있다.정면 7칸이며 전체 22칸의 긴 건물로 오른쪽에는 누마루가 살짝 튀어나왔는데 전체적으로는 권위적이지 않으면서도 늠름한 자태를..
홍성 엄찬고택(洪城 嚴璨古宅) 중요민속문화재 제231호 충남 홍성군 홍북면 최영장군길 11-26 (노은리) 이 고택은 조선시대 사육신의 한 분인 성삼문 선생과 관련된 집으로 전해진다. 약간 높은 대지에 경사진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ㅁ'자형으로 지었다. 본채는 북쪽은 지붕 옆면이 여덟 ..
김제내아(金堤內衙) 시도유형문화재 제61호(김제시) 전북 김제시 교동 7-3 관리의 가족들이 생활하던 관아건물로 동헌이 고을의 공무를 수행하는 곳인데 반해, 내아는 살림집이다. 조선 현종 8년(1667)에 동헌과 함께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원래는 지금 남아 있는 ㄷ자형의 안채 이외에도 ..
여산동헌(礪山東軒) 익산시 유형문화재 제93호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조선시대 여산부의 관아건물로, 개조하여 여산 우체국으로 이용하다가 현재에는 경로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앞면 5칸·옆면 3칸의 규모로,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낮은 기단 위에 앞면과 왼쪽에는 약 90㎝ 높이..
익산 여산향교대성전(礪山鄕校大成殿)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101-1 여산향교는 조선 태종 3년(1403)에 처음 지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져, 그 뒤 지방 유림들이 다시 지었다. 대성전의 규모는 앞면 3칸 반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
익산 여산향교(礪山鄕校)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101-1 여산향교는 조선 태종 3년(1403)에 처음 지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져, 그 뒤 지방 유림들이 다시 지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
전주객사(全州客舍) 보물 제583호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 3가1 객사는 고려·조선시대에 각 고을에 설치하였던 것으로 관사 또는 객관이라고도 한다. 객사는 고려 전기부터 있었으며 외국 사신이 방문했을 때 객사에 묵으면서 연회도 가졌다. 조선시대에는 객사에 위패를 모시고, 초..
아산공세리성당(牙山貢稅里聖堂) 아산시기념물 제144호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194-1 아산만과 삽교천을 잇는 인주면 공세리 언덕위에 세워진 천주교 대전교구 소 속의 본당으로 초기 선교사들이 포구에 상륙하여 전교를 시작한 곳으로 1894년에 교회가 설립되었다. 처음에는 동네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