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창덕궁 (2)
바람처럼 떠나다

돈화문(敦化門) 창덕궁의 정문은 돈화문(敦化門)이다.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으로 남향 건물이다.좌우 양쪽의 협칸을 벽체로 막았으나,우리나라 궁궐 대문 가운데 정면이 5칸에 이르는 문은 돈화문밖에 없다.태종 12년(1412)에 창건된 이 문은 창경궁의 정문 홍화문(弘化門)과 더불어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이 보존되어 있는 궁궐 정문으로 중시되고 있다.즉,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창덕궁을 중건하기 시작한 선조 40년(1607)에 가장 먼저 복구되었는데 이때의 건물 모습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창건 당시 돈화문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점차 개축되면서 현재의 규모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태종 13년에는 돈화문에 무게 1만 5000근의 동종(銅鐘)을 걸고 아침저녁으로 인경을 쳤다는..

( 창덕궁의 많은 전각들을,그것도 후원(後苑)까지 포함해서 1시간 30여분 남짓의 관람시간(강제조항)으로 돌아보기에는 너무 버거웠다.대충 세어봐도 열 일곱개나 되는 전각들인데 안내 받을 수 있는 건물은 다섯 손가락을 꼽을 정도(후원제외) 그나마 안내인의 설명이라는 것이 어쩌면 제한된 동선을 따라가며 숨가쁘게 진행되는지라 각 전각의 편액 사진을 찍는 것 조차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4월에는 나 같은 사람들도 편안하게 돌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하니 그 때를 기다려보는 수 밖에.우선 몇 컷 밖에 안되는 사진으로 만족해야 한다...) 창덕궁(昌德宮) 조선 건국 초기,개경에서 제3대 왕으로 즉위한 태종이 도읍을 다시 한성으로 옮기면서 응봉(鷹峰)자락 향교동(鄕校洞)터에 이궁(離宮)으로 조성한 궁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