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하남이성산성(河南二聖山城).경기 하남 본문
하남이성산성(河南二聖山城)
몽촌토성이 있는 올림픽공원의 북쪽에 접하여 있는 강동대로를 따라가면 하남시와 연결되는 도로와 만나게 되는데, 이 도로를 따라 4km 정도 가면 우측에 춘궁저수지가 보이고 좌측에 이성산성이라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이 곳에서 북서쪽으로 등산로를 따라 300m 정도 오르면
이성산성의 남벽을 관통하여 성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성산성(사적 422호)은 하남시 춘궁동, 초일동, 광암동의 분기점이 되는 이성산(209.8m) 정상과 남동쪽 골짜기를 감싸안은 포곡식(包谷式)의 석축산성이다.
남쪽으로는 춘궁동, 교산동, 상사창동, 하사창동, 항동 등 비교적 넓은 평야지역이 남한산성에서 뻗어내려 온 금암산과 객산 등으로 둘러싸여 분지를 이루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검단산이 가로막고 있다. 한편 북쪽으로 한강유역의 넓은 지역을 조망할 수 있고 서쪽으로는 시야가 트여 있어 아차산 일대와 풍납토성, 몽촌토성 일대가 넓게 조망된다. 이성산성의 총 둘레는 1,665m로서 삼국시대의 성곽 중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한다. 성벽은 해발 209.8m인 주봉을 중심으로 남쪽의 능선을 따라 축조하여, 부정형의 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다.
성 내부는 경사가 완만하고 곳곳에 평탄지가 조성되어 규모에 비하여 가용면적이 매우 넓으며, 성 내부면적은 약 128,890㎡이다. 성벽의 안쪽에는 5m 정도의 회곽도를 두어 병사들의 이동이 쉽도록 하였으며, 성벽은 자연지형을 따라 굴곡을 이루도록 쌓았다. 성이 급격히 회절하는 부분에는 별도의 치를 설치하였는데 치의 길이는 3.4m, 너비는 12.5m 에 달하여 길이보다 너비가 넓게 축조하였다. 성에는 북쪽, 서남쪽, 동쪽, 남쪽에 문지로 보이는 곳이 있는데, 이 중 남문이 정문의 역할을 했을 것이다.
최근 조사에서 동문지가 확인되었는데, 사다리를 놓고 올라가야 하는 현문식(懸門式)의 구조이며 문지의 바닥에는 수구가 설치되어 있었다.
성벽은 2차에 걸쳐서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1차성벽을 쌓고 일정기간이 지난 후 성벽이 무너지게 되자 1차성벽의 바깥쪽으로 대략 3.8m 지점에서 새로운 성벽을 덧붙여 쌓았다. 두 성벽은 쌓은 시점의 차이 때문에 축성방법의 차이를 보인다. 1차성벽은 비교적 옆으로 길쭉하고 덜 정교하게 다듬은 성돌로 퇴물림 쌓기를 하지 않고 거의 수직에 가깝게 쌓았다.
반면 2차성벽은 기단부를 조성한 후 바닥에 큰 지대석을 놓고, 그 위에 표면과 모서리를 정교하게 다듬은 폭 30cm 내외인 옥수수알 모양의 성돌로 정교하게 쌓아올렸는데, 퇴물림쌓기를 하여 1차성벽에 비하여 성벽의 경사가 완만한 것이 특징이다. 이성산성에서는 다른 산성에서 그 예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많은 대형건물이 확인되었다. 또한 2차에 걸친 대대적인 축성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어 6세기 중엽 신라가 한강 하류지역을 장악하고 설치한 신주(新州)의 읍치성으로 축성되었다가, 이후 7세기 중엽 한산주의 읍치로 기능하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목간에 쓰여진 명문을 고려할 때 이성산성은 남한성 또는 한성으로 불렸던 것으로 여겨진다.
*다음백과사전*
하남이성산성(河南二聖山城)
사적 제422호
경기 하남시 춘궁동 산 36번지외
이성산성은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에서 북쪽방향으로 내려오는 줄기와 만나 길게 맥을 형성하는 금암산의 줄기에 접해 있으며, 남쪽은 평야를 둘러싸고 있는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작은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지역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성산성은 배후의 평야지역을 방어하고 강북의 적으로부터 한강유역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춘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총길이 1,925m인 이성산성과 성내부에 대한 본격적인 발굴조사는 한양대학교박물관의 주관으로 지난 '86년부터 '99년간 7차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삼국시대 건물지(8각, 9각, 장방형 등)와 부대시설(문지, 배수구 등), 목간, 철제마 등 총 3,352점의 유물이 출토되었고, 특히 3차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목간 전면의 명문기록「무진년정월십이일 붕남한성도사< 戊辰年正月十二日 朋南漢城道使...>」 중 "무진년"은 603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토된 토기들은 황룡사, 안압지 출토 토기들과 유사하여 통일신라토기로 판명되며, 신라가 5세기 중엽 한강유역을 점령한 후 축조된 것으로
역사상·학술상으로 매우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문화재정보 홈페이지*
'☆~ 풍경소리 > 경 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천 중리3층석탑(利川 中里三層石塔).경기 이천 (0) | 2008.05.09 |
---|---|
이천 태평흥국명 마애보살좌상(太平興國銘 磨崖菩薩坐像).경기 이천 (0) | 2008.05.07 |
양평 불곡리미륵불(楊平 佛谷里彌勒佛).경기 양평 (0) | 2008.02.29 |
양평 지평리삼층석탑(楊平 砥平理三層石塔).경기 양평 (0) | 2008.02.26 |
양평 옥천리삼층석탑(楊平 玉泉里三層石塔).경기 양평 (0) | 2008.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