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坐像).국립중앙박물관 본문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坐像)...황복사터 삼층석탑출토
국보 제79호
1934년 경주구황리 삼층석탑(국보 제37호)을 해체·복원할 때 나온 사리함에서
경주구황리 금제여래입상(국보 제80호)과 함께 발견되었다.
사리함에 새겨진 글에 의하면
통일신라 성덕왕 5년(706)에 사리함 속에 순금으로 된 아미타상을 넣었다고 하는데
이 불상이 아닌가 추측된다.
그러나 크기가 6치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불상은 12.2㎝로 4치도 되지 않아 의문이 간다.
광배(光背)와 불신(佛身), 연꽃무늬 대좌(臺座)의 3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각 부분은 분리되도록 만들었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으며,
둥근 얼굴은 풍만한 느낌을 준다.
눈·코·입은 뚜렷하고 균형이 잡혀 있어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이상적인 모습에 접근하고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하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앞가슴을 많이 드러내고 있는데,
그 안에 대각선으로 걸쳐 입은 속옷이 보인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에 흘러내린 옷자락은 좌우대칭으로 정돈되어 길게 늘어져 있다.
오른손은 어깨 높이로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있고,
무릎 위의 왼손은 손끝이 땅을 향하도록 하여 손등을 보이고 있다.
머리광배에는
연꽃무늬를 중심으로 인동초·당초무늬·덩쿨무늬와 그 가장자리에 불꽃 무늬가 뚫을새김되어 있고,
몸광배에는 인동초·당초무늬와 덩쿨무늬를 이중으로 뚫을새김하였다.
대좌는 원형이며 엎어 놓은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미소 띤 얼굴에 뚜렷한 이목구비와 균형잡힌 몸매를 지녀 더욱 위엄있게 보이는 이 불상은
손모양이나 옷주름, 양감이 강조된 표현 등에서
8세기 초 불상의 양식과 성격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문화재청자료*
'☆~ 바람소리 >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공사 쇠북(時供寺 金鼓).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
감은사지동탑사리장엄구(感恩寺址東塔舍利莊嚴具).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경주구황리금제여래입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立像).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1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