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ags
-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시공사 쇠북(時供寺 金鼓).국립중앙박물관 본문
시공사 쇠북(時供寺 金鼓)
통일신라 865년.
쇠북은 절에서 대중을 집합시킬 때 쳐서 소리를 내는 도구로,
금고(金鼓)라고도 하며 얇은 북 혹은 징과 같은 형태이다.
이 쇠북은 신라시대에 제작되어 현존하는 것으로는 유일한 작품으로,
한쪽은 두드리는 편평한 부분이고, 또 다른 쪽은 터져서 속이 비어 있고,
고리가 세 개 달려 있어서 달아맬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표면에는 여러 줄의 동심원(同心圓)을 새겼지만,
동심원이 약간의 변화를 가지고 배열되었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측면에는 중심에 굵은 줄을 쳐 좌우를 구분하였다.
측면 한쪽에 “咸通陸歲乙酉”라는 명문(銘文)이 기록되어 있어
제작 연대가 신라시대 경문왕(景文王) 5년인 865년임을 알려준다.
대형은 아니지만 비례가 적절하며 간단한 동심원 문양이 장중한 고격(古格)을 풍기는 작품이다.
현재 남아 있는 고려시대 쇠북의 모본이 된 듯하다.
*검색자료*
'☆~ 바람소리 >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시열초상(宋時烈 肖像).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
여주출토"청녕4년"명동종(驪州出土“淸寧四年”銘銅鐘).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감은사지동탑사리장엄구(感恩寺址東塔舍利莊嚴具).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坐像).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경주구황리금제여래입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立像).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