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문경 대승사대웅전(聞慶 大乘寺大雄殿).경북 문경 본문
문경 대승사대웅전(聞慶 大乘寺大雄殿)
지정사항 없음
경북 문경시 산북면 대승사길 283
대승사 대웅전은 앞쪽이 낮고 뒤가 높은 완경사지 전면에 쌓은 높은 기단 위에 그 위용을 드러내고 있으며, 기단은 가장자리에 화강석 갑석을 두르고 높은 정면 기단은 고급스러운 가구식 기단으로 기둥석 없이 지대석과 면석으로 구성하였다.옛석재를 일부 사용하였는데,좌측 모서리 쪽의 두 면석에는 연꽃이 피어나는 형상을 소박하게 장식하였다. 정면 기단의 중앙부에 오르내리는 기단이 나있다.계단 좌측에는 육각형 동주가 있고,앞마당의 좌우에는 야간에 불을 밝히는 노주석이 있다.아 돌은 다른 사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 아니다.
기단 위에 큰 막돌 초석을 놓고 그 위에 굵은 원주를 세워 정면 3칸,측면 3칸 규모로 구성하였다.정면과 측면 모두 가운데 어간이 좌.우협간보다 넓은데 주불앞쪽 정면의 가운데 어간은 아무나 드나들 수 없는 곳으로 그 위계를 엿보게 한다.정면에는 모두 화려한 솟을꽃살문을 베푼 문을 달았는데,넓은 어간은 6분합문이고 좌.우 협간은 4분합문이다.건물 좌.우측과 배면의 벽체는 중방 아래는 판벽이고 위는 흙벽이다.좌.우측면의 건물 앞쪽 주간에는평소 출입하는 외여닫이 굽널 솟을살문을 내고 그 위에 가로로 긴 붙박이솟을꽃살문 창을 달았다.좌.우측면의 어간 위쪽에도 붙박이 꽃살 창이 달려 있는데,빗살꽃살이다.정면과 좌.우측면의 꽃살 꽃은 모두 소담스러우면서도 여유와 품위를 지닌 꽃중의 꽃 즉 花王이라 불리우는 모란꽃으로 부귀영화를 상징한다.꽃살 밑 문짝 아래의 궁판에는 정면 문은 모란 꽃이,양측면 문은 고사리 문양이 그려져 있다.생명력이 뛰어난 고사리는 하늘로 뻗어가는 모습을 하고 있어서 '氣'의 발생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법당의 문은 욕계와 무색계와의 경계 지점으로 문을 지나는 사람들은 탐욕과 번뇌를 털어버리고 깨끗한 마음으로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문중에서도 꽃살문은 부처님께 바치는 공화(供花)로 단순히 여닫는 일상의 출입문인 동시에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이다.좌.우측면과 배면의 중앙 위쪽 흙벽에는 산수도로 장엄한 사원 벽화가 그려져 있다.
내부는 우물마루를 깔고 어간 뒤쪽에 높은 기둥을 세웠다.고주 사이에 후불백을 치고 그 앞쪽의 불단 위에는 석가여래가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거느리고 앉아 있다.뒤쪽에는 일반적인 탱화 대신 호려한 금빛 목각탱이 자리하고 있어 눈길을 사로 잡는다.목각탱 이외에도 신중탱.칠성탱.시왕탱.독성탱.산신탱 등이 있다.불단은 삼단으로 연꽃.모란꽃.물고기.자라.새.인물 등으로 장식하였다.불상 상부에는 보개천장인 닫집을 별도로 꾸미지 않고 연화.연봉.물고기.봉황.학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양쪽 중도리에 얹혀있는 뜬 공포의 운궁과 그 사이의 우물반자그리고 용두각한 충량이 어우러져 천개형 닫집을 대신하게 했다.후불벽은 판벽으로 뒤편의 중방 아래에 작은 문을 내어 불단 내부를 수납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후불벽 고주 아래에 대량을 받치고 있는 보이지는 호랑이로 장식했다.
공포는 기둥 위와 사이에 공포를 짜 올려놓은 다포형식으로 기둥 열 밖 도리방향으로 삐져나온 출목은 외3출목.내5출목으로 포작되어 있다.기둥 사이 간포는 정.배면의 어간과 좌.우 협간에는 각기 3구와 2구씩 두고,좌.우측면의 어간과 좌.우 협간에는 각기 2구와 1구씩 두었다.
공포의 바깥은 보 방향으로 놓인 살미가 밑에서부터 마구리가 치켜 올라간 앙서형 3개,쳐져 내려온 수서형 1개로 이루어져 있고,안쪽은 바깥과 달리 앙서 개정도가 중첩된 운궁형으로 꾸며져 있다.외부 살미의 뒷면에는 아래에서부터 연화.모란.물고기.연봉을 초각하고 그 위의 보머리는 봉황머리로 장식하였다.내부 운궁은 아래에서부터 연화.모란화.잉어.모란봉.연화.기러기.국화.연화가 초각 되어 있고 아래 쪽 연꽃과 모란꽃 옆에는 각각 물고기와 벌을 그려 넣어 상징적 의미의 시각적 전달 효과를 더해 주고 있다.건물의 모서리에 있는 귀 공포에서 45도 방향으로 걸린 살미에는 밑에서부터 연화.모란화.기러기.용두를 초각하였는데,정면 좌측과 대각선상인 배면 좌측 두 곳의 용두에는 입에 원천적 자유와 수행의 상징인 물고기가 물려 있다.공포와 공포 사이 벽체인포벽에는 불상과 산수를 배경으로 한 나한의 모습이 자유로운 분위기로 그려져 있다.
대량 위에 측면에서 뻗어 올라가 걸쳐 있는 두 본의 층량 마구리는 용두각으로 장식하였는데,후불벽두 용두 입에는 바깥 귀 공포처럼 물고기가 물려 있다.층량 용두 위에 가로지른 중도리 상부에 놓여 그 위의 종보를 받치고 있는 뜬 공포는 내.외 3출목으로 운궁형 살미 마구리를 아래에서부터 연화.모란봉.연봉.모란화.물고기를 초각하였다.양측 종보 사이는 우물반자로 꾸며져 있는데,반자널에는 용.봉황.보상화 등이 그려져 있다.단청은 전체적으로는 화려한 금단청을 하고 일부 금모로단청을 도채했다.
지붕은 아름다운 곡선미를 보여주는 팔작지붕으로 용마루 양단에는 용두각의 취두로,내림마루와 추녀마루에는 귀면화로 장식했다.
건물 전체를 화려하게 장엄한 각종 조각 및 문양들은 불법수호.갈복.장수.인내.부귀.자손 번영.학문적인 명성.시험 합격.품위.벽사 등 이상적인 삶에 대한 현실적인 기원을 의탁하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승사 홈페이지 자료*
'☆~ 풍경소리 > 경 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聞慶 大乘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경북 문경 (0) | 2018.03.26 |
---|---|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聞慶 大乘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경북 문경 (0) | 2018.03.25 |
문경내화리삼층석탑(聞慶內化里三層石塔).경북 문경 (0) | 2018.03.21 |
안동 만휴정(晩休亭).경북 안동 (0) | 2017.10.28 |
순흥도호부관아지(順興都護府 官衙址).경북 영주 (0) | 2017.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