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장흥 천관사오층석탑(天冠寺五層石塔).전남 장흥 본문
장흥 천관사오층석탑(天冠寺五層石塔)
장흥군 유형문화재 제135호
전남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천관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높이 4.2m.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5호. 4매의 긴 장대석으로 지대(地臺)를 구축하고 그 중앙에 기단부를 두었는데, 단층기단으로 하대석은 호각형(弧角形)의 2단괴임을 하고 그 위로 4매판석으로 면석을 짰으며 각 면에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중앙에 탱주[撑柱 : 받침기둥] 1주를 두었다.
갑석은 두꺼운 편이며 아랫면에 1단 괴임을 하고 윗면 중앙에도 1단괴임을 각출하여 탑신을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 1석씩이고, 탑신 각 면에 양 우주를 새겼는데, 그 형식은 5층까지 같으며,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1층에서 5층까지 3단이다.
이 탑에서 특이한 형식은 옥개석이 매우 두꺼운 옥개석이라 하겠는데, 이는 탑의 연대가 하대로 내려오면서 발견되는 예일 것이다. 특히 옥개석 처마로 내려오는 전각의 반전도 심한 편으로 이러한 현상도 고려 하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층급받침이 3단이면서도 그 단면이 매우 얕고 옥개석이 전체적으로 보아 두껍고 평박하여 탑이 중후하게 보인다. 같은 경내에 있는 석등의 정제되고 균형 잡힌 조각솜씨나 또한 3층석탑(보물 제795호)의 준수하고 우아한 기법과는 판이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 등으로 보아 조성연대는 고려 하대로 내려올 것 같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자료*
천관사오층석탑(天冠寺五層石塔)
장흥군 유형문화재 제135호
전남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천관사에 서 있는 5층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기단과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고, 윗면은 경사가 급하다. 꼭대기에는 꽃봉오리 모양의 머리장식이 남아 있다.
기단이 1층으로 줄어들고, 지붕돌 받침이 3단으로 줄어드는 등 통일신라의 전형 양식에서 살짝 벗어나 있어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추측된다.
*문화재청자료*
'☆~ 풍경소리 > 전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흥 장천재(長興長川齋).전남 장흥 (0) | 2019.01.20 |
---|---|
장흥방촌리석장승(長興傍村里石長丞).전남 장흥 (0) | 2019.01.18 |
장흥 천관사석등(天冠寺石燈).전남 장흥 (0) | 2019.01.14 |
장흥 천관사삼층석탑(天冠寺三層石塔).전남 장흥 (0) | 2019.01.13 |
장흥 미륵사석불(彌勒寺石佛).전남 장흥 (0) | 2019.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