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처럼 떠나다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 앞 石燈).경기 여주 본문

☆~ 풍경소리/경 기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 앞 石燈).경기 여주

푸른새벽* 2023. 10. 14. 10:28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 앞 石燈)

보물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시대 8각 석등.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94m. 고려시대 석등 중 우아한 형태와 장식성이 돋보이는 우수한 작품이다.

석조부도(石造浮屠)의 형식을 모방한 석등으로서, 상대(上臺)·하대(下臺)의 명확한 구별이 없이 한 돌로 구성된 점은 석등이 형식화되는 시대적 추이를 짐작하게 한다.

8각의 지대석 위로 8각의 하대와 복엽복판(複葉覆瓣)의 연꽃을 매우 두껍고 도식적으로 장식하였다. 간주석(竿柱石)은 짧아져 마치 석조부도의 중대(中臺)와 유사하며, 모서리마다 난간형(欄干形)을 장식하였다. 또한, 그 사이 면에는 안상(眼象)과 중앙 화문(花文)을 낮게 부조(浮彫)하였다.

상대는 하대의 연판과 동일한 복엽앙련(複葉仰蓮)을 조각하였고, 그 위에 한단의 낮은 층급과 다시 턱이 높은 층급을 만들어 화사석(火舍石)을 받쳤다.

이러한 기단 형식은 장흥 보림사 서 승탑(보물, 1963년 지정)의 기단과 매우 흡사하여 주목된다. 상대 위에는 화사석 받침의 표현이 전혀 없이 바로 화사석을 얹어놓았다. 이 화사석은 기타의 부재와 달리 그 재질이 화강암이 아니고, 납석제(蠟石製)인 점이 특이하다.

8면의 면마다 상부를 꽃모양으로 장식한 화창(火窓)을 뚫었고, 각 면의 모서리에는 돌출된 원형기둥과 율동적 형태의 용을 고부조(高浮彫)하였다. 화사석 상부면에도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조각하고 그 아래 기둥 사이 면마다 하강하는 듯한 비천상(飛天像)을 고부조로 장식하였다.

이와 같이 화사석을 납석제로 만들었기 때문에, 섬세한 고부조 장식을 표현하기가 더욱 용이하였다고 생각된다. 화사석 위로는 전각(轉角)이 두꺼운 옥개(屋蓋)가 올려져 있는데, 기왓골의 표현이 없이 각 면의 합각에 우동(隅棟: 옥개석의 귀마루)만을 둥글게 돌출시켰다.

옥개와 한 돌로 이루어진 상부면 중앙에는 복발형(覆鉢形) 장식을 표현하였으며, 그 위로는 2단의 층급을 이룬 뒤 연봉형의 보주(寶珠)를 올려놓았다.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으면서도 각 부의 구성이 안정감 있고, 특히 화사석의 화려한 장식미가 돋보이는 작품으로서 고려 말기의 석등형식을 대변하여 주는 귀중한 예이다.

조성연대는 보제존자가 신륵사에서 입적한 뒤 부도를 세웠던 1397년에 함께 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자료*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 앞 石燈)

보물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신륵사 서북쪽 언덕 위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세부분으로 이루어진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받침에는 표면 전체에 꽃무늬를 가득 새겨 장식하고 있다. 화사석은 각 면에 무지개 모양의 창을 낸 후, 나머지 공간에 비천상(飛天像)과 이무기를 조각했다. 지붕돌은 두꺼우나 여덟 귀퉁이에서의 치켜올림이 경쾌하여 무거운 느낌을 덜어준다.

고려 우왕 5년(1379) 보제존자석종 및 석비와 함께 세워진 작품으로,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이며, 고려 후기의 대표적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문화재청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