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으름나무 본문
목 명: 미나리아재비목
으름덩굴과 에 속하며 한문으로 木通, 林下婦人 라고
한다
으름덩굴, 우룸쭐, 우름, 우르름줄, 조령(제주), 으름덤불(영남),
먹통(전남 구례), 으름나무(전남
보성)로 불려진다.
덩굴나무로서 비옥하고 보수력이 좋은 땅에서 자라기 때문에
쉽게 접할 수 있는 그런 나무는 아니다.
원산지: 한국 일본과 중국 등로서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이남의 표고 50-1,300m의 산야에
자생한다.
형 태: 낙엽활엽 만경목 (관화관실식물), 수형: 만경형 크기 덩굴 줄기는 5m 정도
자란다.
잎: 잎은 새 가지에서는 호생하고,
늙은 가지에서는 총생하며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5(간혹
6)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요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3-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꽃은 일가화로서 4-5월에 피고
잎과 더불어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짧은 총상화서에 달리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리며 직경 2.5-3cm로서 자갈색이 난다.
꽃잎은
없으며 3개의 꽃받침 잎이 있다.
열 매: 장과는 길이 6-10cm로서 긴 타원형이며 10월에 자갈색으로 익고
복봉선(腹縫線)으로 터지며 종자가 분산된다.
과피가 두껍고 과육은 먹을 수 있다.
줄 기: 덩굴의 길이가
5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뿌 리: 길고 비대해 있으며, 천근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