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꾸지뽕나무 본문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뽕나무과 Moraceae)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린 낙엽소교목 또는 관목이다.
꾸지뽕나무, 활뽕나무 등의 다른 이름이 있고
중국에서는 자목 또는 상자, 지황 등으로 부른다.
이 나무는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의 들이나 낮은 산지에 드물게 자란다.
잎 모양은 둥글고 끝이 뾰족하며 세 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6월에 꽃이 피어서 가을에 둥근 열매가 붉게 익는데
사람이 먹을 수 있고 새들이 즐겨 먹는다.
줄기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붙어 있다.
암나무와 수나묵가 따로 있어서 수나무에는 열매가 달리지 않는다.
꾸지뽕나무는 경남, 전남, 제주 등 우리나라의 남쪽지방에 흔하다.
중부지방에서는 거의 보기 어렵다.
목재의 재질이 몹시 질기고 단단하여 지팡이를 만들면 오래 쓸 수 있다.
민간에서 꾸지뽕나무 지팡이를 짚고 다니면 중푸에 걸리지 않는다는 얘기가 있다.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렸지만 뽕나무와는 인연이 약간 멀다.
그러나 이 나무의 잎으로 누에를 먹일 수 있다.
약으로 쓸 때는 줄기, 줄기껍질, 잎, 열매, 뿌리를 쓴다.
약성은 따뜻하고 맛은 달고 쓰며 독은 없다.
이 나무는 여성들의 여러 가지 질병에 좋은 약이다.
부인의 붕중혈결을 다스리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어혈을 풀고 신장의 결석을 없앤다.
또한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을 맑게하는 작용이 있다.
꾸지뽕나무는 자궁암, 자궁근종에 특효약이라 할 만하다.
위암, 식도암, 간암, 대장암, 폐암, 부인암 등 갖가지 암에 민간요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데
가장 탁월한 효과가 있는 질병은 자궁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