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 (1855)
바람처럼 떠나다
양주 회암사지 박물관(楊州 檜巖寺址 博物館) 경기 양주시 회암사길 11
양주 회암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물(楊州檜巖寺木造如來坐像─腹藏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6호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길 281번지, 회암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6호. 높이 50.2㎝, 무릎 폭 36.5㎝. 두 손은 따로 제작하여 끼워 넣은 상태이다. 복장발원문인 「발보리원(發菩提願)」을 통..
양주 회암사지부도탑(楊州 檜岩寺址浮屠塔) 시도유형문화재 제52호(양주시)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14-1 회암사지 부도탑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시기 위하여 건립된 부도(浮屠) 양식을 취하고 있어 부도탑(浮屠塔)으로 불리고 있다. 부도(浮屠)는 오랫동안 부도(..
양주 회암사지 나옹선사부도및석등(楊州 檜巖寺址 儺翁禪師浮屠및石燈) 시도유형문화재 제50호(양주시)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 부도는 이름 높은 승려들의 유골이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하여 건립된 묘탑(廟塔)이다. 통일 신라 하대에 선종(禪宗)이 전래되면서 조사(祖師)들의 부도를 ..
양주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楊州 檜巖寺址 指空禪師浮屠碑)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5호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 8-1 양주 회암사지 지공선사의 부도 앞에 있는 이 부도비는 지공선사의 유래를 기록한 비이다. 원래의 부도비는 이색이 찬하고 한수가 글씨를 써서 1378년(우왕 4년)에 건립하였..
양주 회암사지 지공선사부도및석등(楊州 檜巖寺址 指空禪師浮屠및石燈) 시도유형문화재 제49호(양주시)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 높이 3.5m.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9호. 나옹(懶翁)·무학(無學) 화상의 부도에 이어 천보산(天寶山) 회암사 동쪽 능선 맨 뒤쪽에 서 있는 이 부도는 충렬왕 말..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비(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碑) 시도유형문화재 제51호(양주시)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무학대사(無學大師)의 사적비. 무학대사[1372~1405]는 고려 말~조선 초의 이름난 승려로, 이름은 자초(自超)이고 호가 무학(無學)이다. 18..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楊州檜巖寺址無學大師塔─雙獅子石燈) 보물 제389호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 회암사 보물 제389호. 높이 2.5m. 회암사지 동쪽 능선 위에 지공(指空)·나옹(懶翁)·무학(無學)의 부도가 남북으로 나란히 있고, 그 남쪽 끝에 이 석등이 있다. 상하 평..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楊州檜巖寺址無學大師塔) 보물 제388호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 회암사 보물 제388호. 높이 2.7m. 고려 말, 조선 초에 활동하였던 무학대사 자초(自超, 1327∼1405)의 묘탑(墓塔)이다. 회암사 터의 북쪽 능선 위에 있는데, 뒤쪽에는 스승인 나옹(懶翁) 혜근(惠勤, 13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