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 (1855)
바람처럼 떠나다
강릉 용연사석탑(江陵龍淵寺石塔) 문화재자료 제139호(강릉시) 강원 강릉시 사천면 사기막리 821번지 용연사 용연사 대웅전 앞마당에 자리 잡은 3층 석탑이다. 1967년 본래 있던 기단부에 주위에 흩어져 있던 부재를 모아 조립한 석탑이다. 기단부의 판석을 중첩해서 쌓은 양식으로 보아 제..
강릉보광리석조여래좌상(江陵 普光里石造如來坐像) 시도유형문화재 제111호(강릉시) 강원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산400 현재 이름을 알 수 없는 절터에 세워져 있는데, 현재의 자리가 원래의 자리는 아니고 출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표현한 광배와 부처가 앉은 자리..
강릉 보현사 부도군 (江陵 普賢寺 浮屠群) 지정사항 없음 강원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544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보현사 입구의 길가 남측에 있다. 석종형부도가 한 줄에 10기씩 20기가 동.서축으로 세워져 있다. 별도로 세운 부도비는 없고, 15기는 부도 주인공의 이름을 부도 탑신에 새겨 놓..
강릉 보현사 석탑재 (江陵 普賢寺 石塔材) 지정사항 없음 강원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544 보현사 대웅전 어칸으로 오르는 중앙계단 서측에 있다. 탑재는 연화문이 조각된 사각방형의 석등 하대석 부재 위에 놓여 있다. 원래의 자리는 대웅전 앞 중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탑신석은 좌상..
강릉 보현사 석사자상(江陵 普賢寺 石獅子像) 지정사항 없음 강원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544 보현사 대웅전의 어칸으로 오르는 계단 동측에 있다. 보현사 석사자상은 용도 미상의 부재 위에 올려져 있는데 엉덩이와 뒷발을 땅에 붙이고 허리를 곧추세우고 머리를 하늘로 향한 형태이다. ..
강릉 보현사대웅전(江陵 普賢寺大雄殿) 문화재자료 제37호(강릉시) 강원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544 보현사는 신라 진덕여왕 4년(650)에 자장율사가 세운 절이다. 후에 낭원대사가 고쳐 세웠고 ‘지장선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대웅전은 조선 후기에 세운 건물로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江陵 普賢寺朗圓大師悟眞塔) 보현사 삼성각 뒤쪽 꽤 가파른 산비탈길을 올라 약 100m 쯤 간 곳에 있다.그러나 얼기설기 놓은 계단을 따라 올라가기 때문에 그다지 힘들지는 않다.계단 옆에는 키 작은 산죽이 무성하여 산바람에 장단 맞추는 댓잎소리가 듣기 좋다.주..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江陵 普賢寺朗圓大師悟眞塔碑) 사각의 지대석 위에 용머리 형상의 거북이를 얹고 그 위에 높은 비신을 세웠으며,용 네 마리가 여의주를 놓고 다투는 모습을 실감나게 투각(透刻)한 이수를 얹은 전형적인 부도비의 모습이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이수 중앙에 올려..
강릉 안국사지석불대좌(江陵安國寺址石佛臺座) 지정사항 없음 강원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 774 이 대좌는 5층석탑 좌측 부근에 인접해 있다. 남북이 긴 장방형의 개석(180×127cm)은 하부에 2단의 몰딩이 있고, 면석(131×69cm)은 사면에 조각이 있는데 동면과 북면에는 안상이 있으나, 그 내 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