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 (1855)
바람처럼 떠나다
강릉귀부(江陵龜趺) 문화재자료 제2호(강릉시) 강원 강릉시 죽헌동 177-4 (강릉시립박물관내) 강릉 오죽헌시립박물관의 앞뜰에 놓여 있는 비의 받침돌로, 거북의 모습을 하고 있다.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이 받침돌은 거북의 목이 짧고 얼굴은 등과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다. 얼굴..
열화당(悅話堂)은 순조 15년(1815) 오은거사 이후가 건립한 사랑채로 친척들과 화기애애한 정담을 나누는 장소다. 열화당이라는 이름은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 구절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세상과 더불어 나를 잊으니(世與我而相遺)/다시 어찌 벼슬을 구할 것인가(復駕言兮焉求)/친..
강릉 선교장 활래정(江陵 船橋莊 活來亭) 중요민속자료 제5-4호 강원 강릉시운정동 431 열화당을 세운 다음 해인 순조16년(1816)에 이후(1773~1832)가 건립하였는데 현재 건물은 이후의 증손 이근우(李根宇,鏡農)가 고종43년(1906)에 중건하였다. 잘 자란 소나무 숲이 정자의 배경이 되고 있어 경..
강릉선교장(江陵 船橋莊) 중요민속자료 제5호 강원 강릉시 운정동 431 경포대에서 대관령 쪽으로 향하면 노송 수백 그루가 우거진 골짜기에 있고 그 사이로 날아갈 듯 추녀를 살짝 드러내고 있는 살림집이 있다.강원도내의 개인 주택으로서는 가장 넓은 집인 선교장은 조선 시대 상류 계..
강릉 경포대(鏡浦臺) 시도유형문화재 제6호(강릉시) 강원 강릉시 저동 94 관동팔경의 하나로 경포호수 북쪽 언덕에 있는 누각이다. 고려 충숙왕 13년(1326)에 방해정 뒷산 인월사 터에 처음 지었던 것을 조선 중종 3년(1508)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다시 지었다. 그 뒤에도 여러 차례에 걸쳐 ..
강릉 방현사지석불좌상(江陵 坊縣寺址石佛) 강원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 305-1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불. 연곡면 방내리 교동 탑골마을 내에 방현사지(坊縣寺址)로 알려진 옛 절터가 있는데, 절터로 추정되는 마을 내에 3층 석탑과 석불좌상이 남아 있다. 현재 3층..
강릉 방내리삼층석탑(江陵 坊內里三層石塔) 시도유형문화재 제36호(강릉시) 강원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 305-1 신라의 옛 절터로 전하는 곳에 남아 있는 3층 석탑이다. 탑 주변으로 민가가 들어서 있어 탑 이외에 사찰이 있었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기단부는 훼손이 심하여 원래의 모습..
강릉송라사석조약사여래좌상(江陵 松蘿寺石造藥師如來坐像) 시도유형문화재 제129호(강릉시) 강원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 356-1 송라사의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불상은 1936년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의 방현사지(方縣寺址)에서 출토되었다고 한다. 현재 채색은 거의 벗겨졌지만, 각선(..
강릉 용연사부도군(江陵龍淵寺浮屠群) 지정사항 없음 강원 강릉시 사천면 사기막리 용연동 용연사의 서남쪽 가까이에 있으며, 모두 석종형인데 다음과 같다. ' 계해 7월 일립(癸亥七月日立)' 높이 100cm, '부암당(浮巖堂)' 높이 142cm, '계월당대사(桂月堂大師)' 높이 136cm, '계암당(繼巖堂)'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