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경복궁 자경전 (3)
바람처럼 떠나다

십장생(十長生) 굴뚝 자경전 건물의 북쪽 담장에 조성되어 있는 십장생(十長生) 굴뚝은 보물 제 810호로 지정되어 있다.이 굴뚝은 담장 일부분을 장방형으로 구획하여 마당 쪽 앞으로 한단을 돌출시켜 장대석 낮은 기단 위에 벽돌을 쌓고, 그 위에 기와 지붕과 연가(煙家)를 얹었다 벽면의 규모는 너비 3.81m,높이 2.36m,두께 65cm이다.벽면의 제일 아랫 부분에는 좌우에 각각 불가사리 벽사상을 전(塼)으로 만들어 배치하였고 그 위 벽면의 중앙 부분에 가로 3.03m,세로 88cm의 직사각형 공간을 구획하였다 그 공간에 회벽으로 화면을 구성하고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해.산.구름.바위.소나무.대나무.거북.사슴.학.불로초 등을 제각기 다른 조형전으로 만들어 배치하였다.이들 십장생 외에도 연꽃과 포도 문양도 눈..

수정전(修政殿). 사정전 일곽의 서남쪽 방향 경회루의 정면 남쪽에는 수정전(修政殿)이 위치해 있다 세종때는 집현전(集賢殿)으로,세조 때에는 예문관(藝文館)으로 쓰인던 전각인데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시 재건되면서 수정전이라 이름 붙였다 고종 초기에는 연거지..

자경전(慈慶殿) 동궁 일곽의 북쪽 방향,교태전의 동북 방향에는 자경전(慈慶殿)이 위치해 있다.고종 때 경복궁 중건의 제2단계 조영(造營)당시 대왕대비이던 조대비(趙大妃-神貞王后)를 위하여 옛 자미당(紫薇堂)동쪽 청연루 터에 건립하였다.옛 자미당에서는 예종이 승하하였다 『明宗實錄』에 따르면 청연루를 삼전(三殿-대왕대비.왕대비.왕)이 합어(合御)하던 곳이라 하였다.현재 경복궁에 있는 강녕전.교태전 일곽 등의 침전이 최근에 복원된 전각들인 데 비해 자경전은 중건 당시의 전각이다.연침(燕寢)중 훼철되지 않은 유일한 전각인 것이다.개국 당시 창건할 때는 없었다 '慈慶'이라는 이름은 정조가 즉위하면서 생모(生母)혜경궁(惠慶宮)홍씨(洪氏)를 위해 창경궁에 자경전을 지은 데서 비롯되었다.그 의미는 자친(慈親),즉 임금..